[울산 인구절벽 위기 속 지자체별 빛과 그림자]초광역 교통망 구축땐 ‘탈울산’ 가속화

2021-11-23     이왕수 기자
자료사진

인구는 도시 경쟁력을 가늠할 수 있는 하나의 척도다.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 가량이 거주하는 수도권이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고, 주요 시설을 유치한 이유이기도 하다. 광역시 후발 주자인 울산은 주력 산업 침체로 인구 110만 시대도 위태롭다. 울산의 접경지이자 개발이 가속화되는 인근 부산 기장이나 양산으로 유출되는 인구도 적지 않다.

특히 도시 미래를 보장하는 청년층 일명 ‘MZ세대(1980~2000년대 출생 세대)’로 불리는 2030 청년세대의 이탈은 심각하다. 울산의 인구 가운데 2030 청년세대 감소속도가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취업과 교육 등으로 부산과 수도권 등으로 빠져 나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018년 12월부터 올해 10월까지 20~39세 인구 증감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울산지역 2030 세대는 2018년 12월 31만9567명에서 올해 10월 28만4257명으로 11.0%(3만5310명) 감소했다.

본보는 부울경 메가시티 구축을 앞두고 지역 지자체간 벌어지는 인구 전쟁과 개발 불균형 문제를 비롯해 도시 경쟁력을 강화할 방안 등을 짚어본다.

 울산 인구 증감 현황
구 분 2020년 2015년 2010년
울 산 113만6017명 117만3534명 112만6298명
중 구 21만7595명 24만4481명 23만2915명
남 구 32만64명 34만3598명 34만4131명
동 구 15만6806명 17만4514명 17만764명
북 구 21만9014명 19만1063명 17만7488명
울주군 22만2538명 21만9429명 20만10000명

◇도시 경쟁력 척도 ‘인구’ 두고 뺏고 뺏기는 전쟁

울산은 주민등록인구 기준 지난 2015년 117만3534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지금까지 인구 감소세를 겪고 있다. 당시 대비 올해 10월 기준으로 5만968명 감소했다. 대한민국 총 인구가 지난 2019년까지 증가세를 보인 것과 대조된다.

인구 감소 문제가 가장 크게 대두된 지자체는 중구다. 지난 2015년 기준 인구 24만4481명으로, 남구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인구를 자랑했지만 서서히 줄기 시작해 지난해 울주군과 북구에 자리를 내눴다. 올해 10월 기준 21만명대로, 15만명대의 동구 다음으로 인구가 적은 지자체가 됐다. 울산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남구도 같은 기간 2만8892명 줄었고, 조선업 침체 직격탄을 맞은 동구 역시 2만462명 감소했다.

도시 확장사업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는 북구와 울주군이 인구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울산 전체 인구 증가를 이끌어내진 못한다. 지역 내 이동을 통한 인구 증가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울산 내 인구를 빼앗아 오는 일종의 ‘하석상대’(아랫돌 빼서 윗돌 괸다)에 불과하다.



◇메가시티에 한 목소리 내야할 시·구·군 인구 문제로 삐걱

인구·경제·인프라·일자리 등 수도권 집중화에 대응하기 위해 울산·부산·경남이 메가시티 구축에 나섰다. 소멸 위기감이 고조되는 울산으로선 또 하나의 생존 전략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울산의 인구 측면에선 메가시티 구축에 따른 이득이 불확실하다.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울산에서 부산·경남으로 순유출된 인구만 9624명이다. 울산에 일터를 두고 부산 기장이나 해운대, 양산 등지에서 출퇴근하는 울산 인구가 적지 않은 상황에서 부울경 초광역 교통망까지 구축될 경우 인구 유출이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도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선 지역 시·구·군간 ‘원팀’ 전략이 필요하지만 각 구·군간 이해관계는 또 다르다.

부산·경남 접경지인 울주와 도시개발사업이 활발한 북구와 달리 중구는 급격한 인구 감소 문제에 직면한 상황에서 메가시티가 구축될 경우 유출될 인구가 많을 것으로 자체 분석되고 있다. 지역 5개 구·군 중 유일하게 국민의힘이 집권한 남구 역시 인구 감소를 우려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중·남구의 메가시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지난달 울산시가 개최한 메가시티 심포지엄에서도 일부 드러났다. 당시 메가시티 성공 구축을 위해 한 목소리를 내자는 차원에서 시·구·군 업무협약이 추진됐고, 5개 구·군 단체장 모두 초청됐지만 중·남구청장은 불참했다.

중·남구청장 모두 공식적으론 일정상 이유로 불참한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메가시티 구축에 따른 실익을 거두기 힘든 상황이 고려된 것이라는 분석을 낳고 있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