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접경지역 개발 없이 인구유출 못 막는다

2021-11-29     이재명 기자
양산·기장 등 울산 접경지역으로 인구가 계속 유출되고 있다. 동남권 메가시티의 인구 감소도 문제지만 더 급한 것은 울산의 인구가 속수무책으로 빠져나가고 있는 것을 막는 것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동남권 메가시티를 구성하고 있는 3개 광역지자체 중 울산이 가장 먼저 광역시 해체라는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다. 울산시의 작금의 행태를 보면 인구문제에 대해 너무 안일하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

울산 인구의 이탈을 막기 위해 가장 시급하게 해야 할 일은 인근 지자체와의 접경지역에 정주여건을 마련하고 일자리를 확보하는 것이다. 접경지역의 정주여건 확보와 일자리는 전쟁으로 치면 최전선의 교두보라고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미래를 내다보는 도시계획을 보다 치밀하게 수립해야 하며, 그에 따른 현실적인 개발계획도 준비해야 한다. 결국 도시계획은 인구전쟁에 다름 아닌 것이다.

국가포털통계에 따르면 한 때 120만명을 바라봤던 울산의 인구는 오는 2030년 110만이 붕괴되고, 2037년 105만대로 내려앉는다. 반면 울산의 접경지인 양산은 같은 기간 35만9000명에서 42만명으로, 부산 기장군은 16만4000여명에서 17만8000여명으로 각각 늘어난다.

최근 동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부·울·경 사회조사를 활용한 동남권 통근 이동 현황’에 따르면 울산에서 직장생활을 하지만 인근 부산과 경남에 주소를 둔 인구가 3만7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울산에 주소지를 두고 부산·경남으로 통근하는 인구보다 5.5배나 더 많은 것이다.

울산은 5개 구·군 가운데 울주군과 북구가 경주시, 청도군, 밀양시, 양산시, 기장군 등 5개 기초지자체와 맞물려 있다. 이 중 인구 이동이 가장 많은 지자체는 경주시와 양산시, 기장군이다. 울주군 웅촌면 고연공단의 경우 근로자 대부분이 웅촌보다 정주여건이 좋은 양산에서 출퇴근하고 있고, 온산국가산단 등에서도 부산·양산 방면 출퇴근 통근버스가 오가고 있다. 또 많은 근로자들이 울산보다 공해와 소음이 덜한 경주에서 울산으로 출퇴근하고 있다.

지난 1일 송철호 울산시장과 이선호 울주군수는 인구 유출과 지역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울산의 지속가능한 성장 및 균형발전 전략’을 공동으로 발표했다. 오랜만에 두 사람은 인구유출의 심각성에 함께 우려를 표명했다.

그러나 매번 그랬듯이 계획이 단지 계획으로 끝난 경우가 허다했다. 접경지역은 인구유출의 통로 역할을 하지만 잘만 개발하면 인구유입의 통로가 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