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약진, LG 누르고 3위, 현대重그룹 10위권에 재진입
2021-12-20 김창식
19일 금융정보업체 인포맥스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 SK그룹 상장사 27개 종목(우선주 포함)의 시총 합계는 211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말(169조2000억원)보다 42조5000억원(25.13%)가량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SK바이오사이언스(19조7000억원, 16일 종가 기준 시총)와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12조3000억원)의 증시 입성에다 그룹사 맏형 SK하이닉스도 1년 새 시총이 4조원(4.64%) 가까이 증가했고 SK이노베이션(19.74%), SK(7.69%), SK텔레콤(42.95%) 시총도 불어났다.
부동의 그룹 1위인 삼성그룹 23개 상장사의 시총은 732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말(724조6000억원)보다 8조원(1.10%)가량 증가하는데 그쳤다.
모더나 백신 품목 허가로 시총이 작년 말 대비 8조7000억원(15.98%) 증가한 63조원대를 기록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SDI(8.76%), 삼성화재(12.80%), 삼성엔지니어링(71.32%) 시총이 증가하고 나머지 삼성화재 등 시총은 감소했다.
특히 현대자동차그룹(상장사 17곳)은 LG그룹을 누르고 3위에 올라섰다. 현대차그룹 시총은 작년 말보다 17조2000억원(14.47%) 증가한 136조원을 기록했다. 기아(37.34%), 현대차(9.11%), 현대제철(8.33%), 현대건설(31.18%) 등 13개 회사가 시총 증가를 주도했다.
반면 LG그룹 시총은 134조6000억원으로 작년보다 9조4000억원가량 줄면서 현대자동차에 3위 자리를 내줬다.
LG이노텍은 애플카 수혜주로 꼽히며 올해 시총이 81.92%나 급증했지만, LG화학 시총이 제너럴모터스(GM)의 전기차 리콜 여파 등에 8조4000억원(14.44%) 쪼그라들면서 그룹주 전체 시총 감소를 주도했다.
작년 말 37조4000억원에 불과했던 카카오 그룹 시총은 115조1000억원 규모로 5위를 차지했고, 네이버그룹(시총 63조7000억원)과 포스코그룹(시총 40조2000억원) 시총은 작년보다 36.9%, 20.9% 증가해 각각 6위와 8위 자리를 유지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현대중공업 상장과 수주회복 등으로 시총이 25조원대로 불어나면서 롯데, CJ를 제친 9위로 10위권에 재진입했다.
셀트리온 시총은 45조7000억원대로 작년보다 -37조4000억원(-45%) 줄면서 5위에서 7위로 밀렸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