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자동차 전환시 울산 8천여명 실직위기”
내연기관 자동차의 친환경차 전환에 따른 자동차부품업계 일자리 감소 폭이 예상보다 큰 것으로 확인됐다. 손을 놓고 있을 경우 최대 8000명 이상이 실직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와 울산시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20일 시청 본관 2층 대회의실에서 지역 노사정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4차 울산자동차산업 노사정 미래포럼’을 개최했다. 시는 지역 자동차 산업의 위기 극복에 대한 노사정 공감대를 형성하고,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포럼을 마련했다.
행사는 2021년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추진 성과 보고와 ‘울산 지역주도형 자동차부품산업 전환지도 작성 연구’ 주제발표, 노사정 토론 등으로 진행됐다.
조형제 울산대 교수가 주제발표한 차부품산업 실태조사 및 전환지도 연구에서는 친환경차 전환 시 지역 차부품업계의 일자리 감소가 예상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19 울산시 사업체 조사와 2021 울산시 제조업체 명부, 한국기업 데이터 등을 활용한 결과 차부품산업 관련 지역 사업체는 876곳, 종사자는 2만8254명에 달했다. 이는 2019년 추산한 종사자 2만4919명을 3335명 웃도는 수치다. 종사자가 늘어난 이유는 협력사로부터 공급받은 부품을 단순조립하는 서열업체와 기본 부품 관련 업체가 포함됐기 때문이다.
친환경차 전환 시 일자리 변화 역시 구체적으로 수치화됐다. 당초 2030년 친환경차 전환 시 지역 차부품업계에서 약 5500개의 일자리가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산됐지만 연구 결과 평균 160개 업체 7125개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가상 시나리오를 도출한 결과 최악의 경우 2025년 차부품업계 일자리는 2만4359개로 줄어든 뒤, 2030년 2만11개로 8243개나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친환경차 전환에 따른 일자리 증가는 13개 업체 586명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테스트베드 기반을 늘리고, 상생 협력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는 조언이 제기됐다. 또 친환경차 전환에 따른 차부품업계의 정책 지원을 확대하고 기업 참여를 위한 홍보 강화도 필요하다는 조언도 나왔다.
한편 올해 울산시가 실시한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 사업은 뚜렷한 성과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10월 대비 올해 차부품업계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는 1180명 증가했는데, 이 중 863명이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 사업에 따른 성과였다. 이춘봉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