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실직 부르는 친환경차 전환, 정책지원 강화 절실

2021-12-21     이재명 기자
20일 울산시에서 ‘제4차 울산자동차산업 노사정 미래포럼’이 열렸다. 이날 포럼에서 주목을 끈 것은 친환경차 전환에 따른 자동차부품업계의 일자리 감소였다. 이날 조형제 울산대 교수는 일자리 감소를 방치할 경우 최대 8000명 이상이 실직할 것으로 예상했다.

친환경차 전환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는 일찌감치 예고돼왔던 것이다. 특히 자동차 메카인 울산에서는 그 동안 수많은 세미나와 심포지엄이 열려왔고,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쏟아졌다. 그러나 그 동안 다양한 주장만 제시됐을 뿐 실질적인 준비는 없었다. 기업주들은 먼 후일의 이야기로만 알았다. 그러는 사이 친환경차 전환은 그 속도가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느긋하게 다른 나라 상황을 구경할 시간이 없게 됐다. 정부와 울산시는 하루빨리 대비책을 찾아 울산지역 자동차산업의 생태계 붕괴를 막아야 한다.

이날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차부품산업 관련 울산지역 사업체는 876곳, 종사자는 2만8254명에 달하고 있다. 당초 2030년 친환경차 전환 시 지역 차부품업계에서 약 5500개의 일자리가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산됐지만 연구 결과 160개 업체 7125개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최악의 경우 2025년 차부품업계 일자리는 2만4359개로 줄어든 뒤, 2030년 2만11개로 8243개나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친환경차 전환에 따른 일자리 증가는 13개 업체 586명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친환경차 전환은 급격한 일자리 감소를 동반하기 때문에 울산지역 경제에도 엄청난 충격을 가져다 줄 것이 확실하다. 최근 국제적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내연기관차 1만 대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인력은 9450명이지만, 전기차는 3580명 뿐이다. BNK경제연구원도 지난 6월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전기차가 내연기관차를 완전히 대체할 경우 부산·울산·경남 등 동남권 지역에서만 일자리 2만 개가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산업연구원은 당장 내년에만 자동차부품산업에서 일자리 4718개가 줄어들 것이라 예측했다.

일자리 감소와 산업생태계 붕괴를 막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울산의 경우 자동차부품업체 41%가 미래차산업에 대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차 전환은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정부가 나서서 체계적이고 강력한 지원책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부품 업체를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을 구축하고, 연구개발을 비롯한 사업 혁신모델을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