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미래 담보할 3대현안 결판의 해
울산의 도시 개발·교통·의료 분야의 미래를 좌우할 것으로 평가받는 3대 핵심 사업의 성패가 올해 결판난다. 일부 사업은 조만간 정부의 선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일부 사업은 예비타당성 조사의 관문을 넘어야 해 장밋빛 미래를 기대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가장 전망이 밝은 사업은 울산 도심융합특구 지정이다. 울산시는 전국 5개(울산,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시범도시 중 유일하게 미선정된 울산 도심융합특구의 상반기 지정을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미선정 지역인 울산은 지난해 11월 부산과 함께 선정에 재도전했지만 지정 구역의 범위를 놓고 국토교통부와 이견을 보이며 다시 선정에서 탈락했다.
당시 시와 국토부는 1순위 후보지인 KTX역세권 일원과 2순위 후보지인 장현도시첨단산단을 도심융합특구로 지정하는 데는 합의했다. 그러나 중구 혁신도시를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는 정치권의 의견이 제시돼 시는 결국 이를 반영한 후보지를 제출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면적이 지나치게 넓고 후보지 간 거리가 멀다는 등의 이유를 들며 선정을 다시 보류했다.
이후 시와 정치권의 협의가 급물살을 타면서 지역 내 합의는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시는 후보지를 조정하고 서류를 보완해 이달 중 국토부에 지정제안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시는 지난달 열렸던 울산~부산 복선전철 개통식 당시 울산을 방문한 노형욱 국토부장관에게 선정을 건의한 만큼 조만간 도심융합특구에 선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가 추산하는 울산 도심융합특구는 총 265만㎡ 규모다. 시는 2028년까지 자족형 스마트도시·융복합 문화도시·친환경 에너지 중심 도시를 조성해 제조업·대기업 위주 주력 산업의 위기를 돌파할 미래산업 육성의 전략 거점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울산의 도시 교통망을 재편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도시철도(트램) 개설 사업도 조만간 결론이 난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2월 울산트램 1호선 사업에 대해 타당성 재조사에 착수했다. 이어 지난해 10월 2호선을 대상으로 예비타당성 조사에 들어갔다.
시는 울산트램 1·2호선 사업과 관련, 예타를 진행하고 있는 한국개발연구원(KDI)에 각각 67·33건의 요구 자료를 제출하는 등 조사 통과를 위한 보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울산트램 1호선 사업은 당초 지난해 8월께 중간평가를 거치면 사업의 윤곽이 어느 정도 드러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KDI가 1호선 사업과 2호선 사업을 결합해 파생 효과를 검토하는 등 심층 조사에 나서면서 시일이 다소 소요되고 있다.
시는 사전 경제성 분석에서 1호선보다 2호선의 경제적 타당성이 더 높게 나온 만큼, 빠르면 다음 달께 울산트램 1호선이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하면 연내에 2호선까지 예타를 통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열악한 울산의 공공의료 인프라를 개선할 울산의료원 설립 사업은 조만간 타당성 재조사에 들어간다. 타당성 재조사는 통상 1년가량의 시일이 소요되지만 기재부가 이달 중으로 지방의료원 관련 조사는 코로나 상황을 감안해 신속히 추진하라는 내용의 지침을 반영해 연내에 결론이 도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타당성 재조사와 예비타당성 조사 중인 사업들의 통과를 위해 기재부와 적극적으로 협의하고 있다”며 “울산 도심융합특구의 빠른 선정을 위해 국토부와도 지속적으로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