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정당별 대선공약으로 본 울산의 미래 변화상]거대 양당 ‘수소도시 울산’ 한목소리

2022-01-18     권지혜

울산지역 여야 정치권이 일제히 대선선대위를 출범하면서 지역 맞춤식 공약을 통해 울산의 미래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거대양당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울산 선대위 조직 구성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정책선거에 돌입했다. 정의당, 진보당 등도 지역공약 선점에 박차를 가하면서 앞으로 정당간 정책대결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민주당 울산선대위는 이재명 대선후보에 10개 주요 지역공약을 제시해 놓은 상태로 현재 조율작업이 진행중이다. 국민의힘은 울산선대위 출범식에 맞춰 윤석열 대선후보가 울산 5대 공약을 제시했다. △산업분야 △도시개발 및 환경·복지분야 △의료 및 교육·청년분야 등 3차례에 걸쳐 울산의 미래 변화상을 미리 엿본다.



◇거대양당 ‘수소모빌리티’ 육성 공통분모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당의 울산지역 산업분야 공약 중 공통분모는 ‘수소모빌리티’다. 다시말해 ‘2강’ 구도의 대선가도의 시나리오를 접목해 볼 경우, 앞으로 울산의 산업패러다임은 기존 굴뚝산업으로 대변되어 온 제조업중심에서 수소에너지 산업으로 빠르게 재편될 전망이다.

울산 민주당은 대선후보에 산업분야 지역공약으로 ‘수소산업 선도도시 조성전략과 수소모빌리티 클러스터 구축’을 제시해 놓고 있다. 세부적으로 수소 자동차 부품 성능인증 지원센터 및 장비 구축, 수소 건설·산업기계 기술 지원센터 및 장비 구축, 수소배관 구축(13㎞, 상방사거리~이화산업단지) 사업이 추진된다.

지난 15일 울산선대위 출범식에 참석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도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으로 산업수도 위상구축’과 관련한 산업분야 울산공약으로 가장 먼저 ‘수소 모빌리티 클러스터 구축’을 꼽았다. 산업수도 울산이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데 수소산업을 핵심사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의지가 묻어난다. 수소를 기반으로 하는 미래 성장동력의 원천을 확보해 탈탄소 에너지사회를 선도하겠다는 게 세부방안이다.

수소 산업 외에 다양한 신산업 육성도 눈에 띈다.

울산 민주당은 2050 미래산업을 선도할 탄소중립 종합기술원 설립을 위해 UNIST 연구지원본부(UCRF) 산하 탄소중립 종합기술원 설립을 구상하고 있다. 소·부·장 산업강화를 위한 영남권 숙련기술진흥원 설립도 제시했다. 재활로봇 R&D 연구센터 설립, 국가 제조혁신 클러스터 구축 등을 통해 ‘첨단과학문화연구개발특구 스마트 U-vally’도 조성한다.

울산 국민의힘은 ‘하늘자동차 특구지정(도심항공모빌리티(UAM) 클러스터 구축)’을 통해 울산을 미래자동차산업의 글로벌 선도도시로 키우겠다는 전략도 공개했다.

부울경 메가시티가 추진되고 있고, 글로벌 도시로 부상할수록 거주자 이동 효율성과 물류비용 문제에 직면할 수밖에 없는데 이같은 도심항공 모빌리티가 해법이 될 수 있다는 시각이 높은 만큼 이와 관련한 산업을 선도적으로 울산이 추진해 세계적 도시로 급부상하겠다는 방안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은 이외에도 조선·해양플랜트산업 육성 등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통한 조선산업 침체기 극복과 국립산업기술박물관 건립으로 울산을 산업수도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구축한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정의당은 △산업전환기 해고금지 및 일자리 국가 책임제 △중대재해기업처벌법 강화 △주4일제 시범도시 지정 △탈원전 등을, 진보당은 △산업전환기 해고금지 △중대재해 추방 △주4일제 시범도시 지정 등을 공약으로 제시하며 거대양당과 차별화된 미래상을 보였다.

권지혜기자 ji1498@ksilbo.co.kr

 울산지역 정당별 산업분야 대선공약
정 당 대선공약
더불어
민주당
△수소모빌리티 클러스터 △탄소중립종합기술원 △영남권 숙련기술진흥원 △스마트 U-vally 등
국민의힘 △하늘자동차 특구 △수소모빌리티 클러스터 △조선·해양플랜트사업 △국립산업기술박물관 등
정의당 △산업전환기 해고금지·일자리 국가 책임제 △중대재해기업처벌법 강화 △주4일제 시범도시 지정 △탈원전 등 
진보당 △산업전환기 해고금지 △중대재해 추방 △주4일제 시범도시 지정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