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공공기관 추가이전’ 한발 앞서 준비

2022-01-26     이춘봉
대선후보들이 잇따라 혁신도시 지방 추가 이전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거나 공약화하기로 하면서, 문재인 정부가 차기 정부로 공을 넘긴 혁신도시 추가 이전의 실행이 유력시되고 있다. 울산시는 이전 대상 기관과 이전 후보지 등을 검토하며 정부 정책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25일 시에 따르면, 정부는 공공기관의 2차 이전이 남은 임기 동안 사실상 어렵다며 다음 정부가 판단해서 결심하면 진행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는 입장을 지난해 연말 수차례 밝혔다.

이와 관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200여 곳을 반드시 이전하겠다는 입장을,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1차 이전 사업에 대한 성과 평가를 조건으로 100여 곳을 이전하겠다는 입장을 각각 밝히고 있다.

주요 대선 주자들이 공공기관 추가 이전에 긍정적인 입장이어서 차기 정부에서 공공기관 추가 이전에 대한 전망은 밝은 편이다.

시는 지난해 실시한 ‘국가 균형발전 시책 및 울산시 균형발전 방안 연구 용역’을 통해 공공기관 추가 이전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 용역은 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울산연구원이 수행했다.

용역의 핵심은 공공기관 지방 추가 이전 대응 방안 연구였다. 용역에서는 공공기관 추가 이전에 대한 당위성과 시민 공감대를 형성하고 대상지 발굴 및 입지 분석 등을 통한 유치전략을 마련했다.

용역에서 제시된 이전 대상 가능지는 총 4곳이다. 대상지는 모두 개발제한구역인데, 우정혁신도시 면적이 277만㎡에 달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마땅한 부지를 찾기가 쉽지 않은 현실이 그대로 드러났다. 시는 구·군의 유치전 과열을 우려해 이전 대상 가능지는 공개하지 않았는데, 기존 부지를 확장하는 방안과 새로운 거점을 형성하는 방안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시가 유치하려는 이전 후보 기관은 20개가량에 달한다. 중구 우정혁신도시 이전 기관이 에너지 관련 기관에 집중됐던 것과 비교하면 폭이 대폭 넓어졌다.

우선 1차 이전 당시와 마찬가지로 에너지 관련 기관이 유치 대상에 올랐다. 수도권에 남아 있는 한국지역난방공사와 한국석유관리원 등이 후보군이다. 탄소 다량 배출 산업이 집약된 지역 특성 등을 감안해 환경 관련 기관 유치도 추진한다. 한국환경공단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등이 대상이다. 동북아 오일·가스허브 구축 이후 필요한 국제 트레이딩 기반 마련을 위해 금융 관련 기관 유치도 검토중이다. 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이 거론되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의 임직원이 3200명, 한국지역난방공사 임직원이 2100명에 달하는 등 유치 대상 기관들의 덩치가 큰 편으로 분류된다. 주요 기관을 유치할 경우 1차 공공기관 이전 규모를 훌쩍 웃돌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