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생산가능인구 320만명 준다
고령화로 오는 2030년까지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약 300만명 넘게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고용노동부는 3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0~2030 중장기 인력수급전망을 발표했다.
고용부는 15세 이상 생산가능인구가 2030년까지 134만4000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2000~2010년에는 463만여명, 2010~2020년에는 396만명 증가했는데 2020~2030년에는 증가추세는 유지하되 증가폭은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특히 고령층의 인구 비중이 커지면서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2030년까지 320만2000명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과거 2000~2010년에는 266만여명, 2010~2020년에는 117만명 늘었지만 앞으로는 큰 폭의 감소가 예상된다.
게다가 저출산, 고령화의 영향으로 인구에서 청년층(15~29세)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23.8%에서 2020년 19.9%, 2030년에는 14.7%로 낮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장년층 이상(50세 이상) 비율은 2010년 35.1%에서 2020년 45.8%, 2030년에는 55%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 산업별 수요 전망을 보면 서비스업 취업자는 10년간 113만여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서비스업 중에서는 고령화로 돌봄 수요가 늘어 보건복지업 취업자가 78만여명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제조업 취업자는 10년간 2000명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전자·전기·화학 등은 취업자가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직업별로는 고숙련 전문가가 60만여명 늘고 판매직과 기계조립 취업자수는 각각 13만여명, 11만여명 줄어드는 등 자동화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부는 디지털 기술 혁신으로 경제가 발전한 상황을 가정하면 2035년에는 취업자 수가 기존 전망보다 15만여명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 관련 산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정세홍기자 aqwe0812@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