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KTX 복합특화단지 녹지, 조정 필요하다
2022-02-08 이재명 기자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는 KTX울산역과 바로 인접해 있는 단지로, 전체 부지 면적은 153만2534㎡이며 공원·녹지 비율은 23.6%(36만1500㎡)에 이른다. 그러나 하늘에서 내려다 보면 녹지와 공원 등 완충녹지는 남쪽으로 집중적으로 배치돼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동쪽에는 산업지원시설이 집중적으로 배치돼 있고 녹지는 거의 없는 수준이다. 아무리 공해가 없는 산업시설이라지만 완벽하게 공해가 없는 산업단지는 있을 수 없다. 악취와 소음, 대기오염물질 등을 차단할 수 있는 차폐숲을 산업지원시설단지에도 조성해야 한다. 또 앞으로 입주할 업체에 대해서도 오염물질 환경영향평가를 엄격하게 실시해야 한다. 그 동안 울산지역 공단에서는 입주 업체의 대기오염물질 성격을 잘못 판단해 낭패를 당한 일이 한두번이 아니다.
복합특화단지에는 문제가 또 있다. 단지개발사업에 따른 수목 훼손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특수목적법인인 울산복합도시개발에 따르면 특화단지 전체의 훼손 수목은 9만5815그루에 이르지만 이 중 4.5%인 4323그루만 이식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렇게 되면 안 그래도 녹지가 부족한 공동주택단지와 산업용지에 열섬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포장이 늘어남에 따라 작괘천 등 인근 하천에는 홍수가 날 가능성도 있다. 낙동강유역청이 최근 복합특화단지에 대해 훼손수목의 이식률을 10% 이상 높이라고 주문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요구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는 울산 서부권의 대표적인 첨단산업단지다. 앞으로 많은 외지인들이 KTX울산역을 통해 울산으로 들어올 것이고 그 중 상당수는 복합특화단지를 찾게 될 것이다. 한번 조성된 단지는 변형이 불가능한만큼 처음부터 세심하고 치밀하게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특히 환경과 관련해서는 과감한 투자를 할 필요가 있다. 울산은 한 때 환경오염의 대명사였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