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서 잇단 확진…행정·치안 공백 우려

2022-02-17     정세홍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울산지역 행정기관·경찰서 등 공공기관 직원들의 확진도 잇따르고 있어 행정·치안 공백이 우려된다. 각 행정기관은 확산 방지를 위해 재택근무는 물론 비대면 업무처리를 확대하는 등 업무 차질 최소화에 고심하고 있다.

16일 울산시와 5개 구·군에 따르면 최근 각 행정기관에서는 확진자가 산발적 감염이 발생하는 등 확산 우려가 커 노심초사하고 있다.

시청 일부 부서에서 동시다발적 감염이 발생하고 있고, 시의회와 울주군에서도 확진자가 발생중이다.

시교육청에서는 2명, 울산경찰청에서는 3명의 확진자가 나왔고 5개 경찰서 등에서는 22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또 중·남·동·북구에서도 최소 3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각 행정기관과 경찰, 소방 등은 행정·치안 업무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책 마련에 고심중이다.

우선 각 행정기관은 추가 확진자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재택근무와 시차출퇴근, 비대면 업무처리 확대 등을 권장하고 있다. 시교육청은 추가 확진에 대비해 타 부서 인력 투입 등 비상대응체계를 수립해 놓았다.

경찰과 소방도 확진자 발생에 따른 업무 최소화에 고심하고 있다. 경찰은 비상조직 가동훈련과 필수인력 집합훈련 등 집단감염 발생 모의훈련을 통해 기존 업무연속성계획(BCP)을 지속 보완해 나갈 방침이다.

소방도 최우선적으로 기능을 유지해야 할 핵심 업무로 화재진압과 인명구조, 구급업무를 지정하고 현장 대응 인력에 손실이 발생할 경우 교대근무를 재편성키로 했다. 또 필요시에는 행정 인력을 화재, 구조, 구급 등의 현장 인력으로 전환하고 항공 등 특수분야의 경우에는 퇴직공무원 등을 활용할 방침이다.

이같은 대책에도 치안, 안전은 물론 사회복지서비스나 민원 업무 등 비상 플랜으로도 처리가 불가능한 대민 서비스에는 차질이 우려된다. 더욱이 확진자 증가세로 자가격리, PCR 검사 등에 따른 업무 공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정세홍기자 aqwe0812@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