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전기차 187만대 판매” 현대차 전동화 가속
현대차가 오는 2030년까지 17종 이상의 전기차(EV) 라인업을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전기차 판매 187만대, 점유율 7%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
현대차 장재훈 대표이사 사장과 서강현 기획재경본부장 부사장은 2일 주주와 애널리스트, 신용평가사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2022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어 이러한 2030년 중장기 전동화 전략 및 재무 목표를 발표했다. 지난해 14만대였던 전기차 연간 판매 목표는 2026년 6배 늘어난 84만대, 2030년에는 13배 이상 확대된 187만대로 제시했다. 이는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까지 합한 목표치이다. 목표가 달성되면 현대차의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3% 초반에서 2030년 7%로 오른다. 기아까지 포함하면 지난해 6%에서 2030년 약 12% 수준으로 상승한다. 현대차·제네시스의 전기차 판매 비중은 지난해 4% 수준에서 2026년 17%, 2030년 36%로 커진다. 판매 중심축이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완전히 옮겨진다는 의미라는 게 현대차의 설명이다.
집중 공략 시장은 미국과 유럽이다. 2030년 미국 시장에서 전체 판매량의 58%인 53만대를 전기차로 팔아 미국 내 전기차 점유율 11%를 달성할 계획이다.
유럽 시장의 경우 전기차 48만대를 판매해 현지 전기차 점유율 6%를 확보한다. 국내 시장에서는 29만대(판매 비중 36%)를 판매해 전기차 점유율 58%를 차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현대차 11종, 제네시스 6종 등 17종 이상의 전기차 라인업을 구축한다.
현대차는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 5에 이어 올해 아이오닉 6, 2024년 아이오닉 7을 차례로 내놓는 등 2030년까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6종, 승용 3종, 소상용 1종, 기타 신규 차종 1종 등을 출시하고 지역 특화 전략형 모델을 추가해 연간 152만대의 전기차를 팔 방침이다.
제네시스는 2025년부터 모든 신차를 전기차로 출시한다. 2030년까지 SUV 4종, 승용 2종 등 총 35만대를 판매해 글로벌 고급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12%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현대차는 전기차 판매 확대를 위해 생산 효율화·최적화를 우선 진행한다. 기존 내연기관 중심의 생산시설을 전동화에 최적화된 생산 시스템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현대 글로벌 9개 생산 거점 가운데 국내 및 체코가 중심인 전기차 생산기지를 더욱 확대하는 동시에 전기차 전용공장 신설도 검토 중이다. 석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