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박스·비닐팩에 투표지 옮겨 항의 빗발

2022-03-07     이우사 기자
울산에서 지난 4~5일 제20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가 진행된 가운데 확진자 및 격리자 선거관리가 부실하게 진행돼 투표소 곳곳에서 혼선이 빚어졌다. 투표소별로 확진·격리자들의 투표지를 비닐팩과 종이상자 등에 옮기면서 항의가 잇따르는가 하면, 본인확인 절차가 부실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일부 투표소에서는 비확진자와 확진자의 투표 동선이 뒤엉키는 등 난맥상이 빚어졌다.

◇투표지 비닐팩, 종이상자 등에 옮겨 관리부실 지적

6일 울산시선관위 등에 따르면 지난 5일 진행된 코로나 확진·격리자 사전투표와 관련해 투표소 곳곳에서 잡음이 일었다.

선관위는 확진·격리자에 대해 이날 오후 5시부터 6시까지 보건소로부터 통지받은 외출허용 시각에 사전투표소에서 도착해 임시기표소에서 투표하도록 했다. 그러나 투표자들이 자신의 투표지를 선관위서 비닐팩과 종이상자 등에 넣어 운반, 직접 투표함에 넣을 수 없게 되자 항의가 잇따랐다.

이는 공직선거법 151조 2항 ‘하나의 선거에 관한 투표에 있어서 투표구마다 선거구별로 동시에 2개의 투표함을 사용할 수 없다’고 명시돼 있기 때문이다.

매뉴얼상 확진·격리자가 임시기표소에서 제출한 투표지 봉투는 참관인 참관 하에 사전투표소로 투입해야 한다. 하지만 투표중 일정 수량을 모아서 투입도 가능하도록 안내하면서 투표소마다 확진·격리자의 봉투를 비닐팩과 종이상자 등에 담아 옮기면서 논란이 발생했다.

한 중구주민은 “투표 봉투를 사무원들이 들고 왔다갔다 하는데 중간에 선거참관인이 확인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며 “사전에 이런 사실을 들은 적도 없고, 내 표가 투표함에 온전히 전달이 됐는지 확인을 할 수 없으니 부정선거 의혹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선관위가 투표용지를 모으는 상자 등을 규격화해 배포하거나, 해당 상자에 대한 보안 방안을 마련해 부실선거 논란을 최소화 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한 확진·격리자 등이 몰리면서 일부 투표소에서는 본인절차 확인이 부실하게 진행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 시민은 “남구의 한 투표소에서 확진자 및 격리자 줄이 길어지자 신분증과 얼굴도 확인하지 않고 바로 투표를 했다”며 “투표용지도 바로 투표함에 넣지 못하고, 믿을 수가 없다. 본 선거일에는 이런 부분이 개선돼야 할 것”이라고 온라인 커뮤니티에 글을 올렸다.

◇비확진자-확진자 투표 동선 뒤엉켜 혼란

지난 5일 울주군의 한 사전투표소에서는 오전부터 유권자들이 사전투표를 위해 긴 줄을 섰다. 오후 5시가 되자 확진·격리자들의 사전투표 줄이 따로 세워졌지만 위치는 비확진자들의 줄 바로 옆이었다. 한뼘 거리도 채 되지 않는 바로 옆에서 확진자들과 비확진자들이 함께 줄을 섰고, 일부 시민들은 줄이 헷갈려 확진자 대기줄에 섰다가 황급히 비확진자 줄로 옮겨가기도 했다.

북구의 한 사전투표소에서도 확진자와 비확진자의 줄 구분이 명확히 이뤄지지 않아 시민들 사이에서 불만과 걱정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비확진자 줄에 서 있던 시민 정모(57)씨는 “확진자들과 확실한 구분 없이 이렇게 바로 옆에 줄을 세울 줄 몰랐다”며 “투표하러 왔다가 되려 신종코로나에 확진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되고 불안하다”고 말했다.

울주군의 한 투표사무원은 “확진자들의 사전투표는 투표 안내 문자 확인과 본인 여부 확인서 작성 등 일 처리가 많아 비확진자들과 동선 구분 등이 늦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울산 동구지역 한 사전투표소에서는 투표지를 훼손한 사건이 발생했다. 시선관위에 따르면 A씨는 동구의 한 사전투표소에서 자신과 함께 투표한 B씨의 투표지를 빼앗아 찢는 방법으로 훼손했다. 시선관위는 A씨가 B씨의 투표지를 빼앗아 찢은 행위는 타인의 선거권을 침해한 범죄로 고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우사기자·정혜윤 수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