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장기화 러·우크라 전쟁, 울산기업 피해 최소화를
2022-03-15 이재명 기자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에 따르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총 14건의 기업 애로사항이 접수됐다. 이 가운데 절반 가량은 실제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기업들의 애로 사항 중 대다수는 대금결제건으로 확인됐다. 최근 러시아 바이어와 약 16억원 가량의 납품계약을 체결한 울산지역 내 자동차 부품기업의 경우 주문 취소 위기에 놓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의 러시아 경제제재와 러시아의 보복성 수출품목 통제는 국내 기업의 기업활동을 옥죄고 있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대러 수출 중 자동차 관련 비중은 40.6%에 달한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에서 매년 23만대를 생산 중인 현대차·기아는 전쟁 여파로 현지 내수시장이 위축될 경우 그 타격을 고스란히 떠안을 가능성이 크다.
또 조선업체들은 주로 헤비테일(선수금을 적게 받고 인도 대금을 많이 받는 형태의 계약) 방식으로 장기 건조계약을 맺기 때문에 대러시아 금융제재가 장기화하는 최악의 경우 나머지 대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빅3’ 조선업체인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은 2020년 말 이후 러시아 선주로부터 LNG 운반선 총 7척을 수주했으며, 특히 삼성중공업은 현지 즈베즈다 조선소와 장기 설비공급계약도 맺은 바 있다. 이를 모두 합하면 국내 조선업체와 러시아와의 거래금액은 7조원을 넘는다.
정부는 국내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방위 지원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산하 전략물자관리원에 국내 기업 등을 대상으로 취급 제품이 수출통제 품목에 해당하는지를 상담해주는 전담 창구인 ‘러시아 데스크’를 가동 중이다.
러·우크라 전쟁은 쉽사리 끝나지 않을 것이다. 끝난다하더라도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것이 분명하다. 물론 정부가 최선을 다해 기업을 보호하겠지만 울산시도 적극적으로 나서 지역기업과 지역경제의 충격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