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대기오염물질 일산화질소서 암모니아 생산 기술 개발
2022-03-24 차형석 기자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권영국(사진) 교수팀이 KAIST 건설및환경공학과 한종인 교수 연구팀, 한국화학연구원 환경자원연구센터 김동연 박사와 함께 일산화질소로부터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고효율 전기화학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발전소·산업용 보일러·제철소 등 연소시설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 대부분(95% 이상)을 차지하는 일산화질소는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뿐만 아니라 산성비, 대기 중 오존을 생성해 배출량이 엄격히 규제된다.
질소산화물 처리 기술인 선택적 촉매 환원법(SCR)에는 요소수 주입, 비싼 금속 촉매(바나듐·몰리브데넘 등)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값싼 철 촉매를 이용해 상온·상압 조건에서 최고 수준의 전기화학적 암모니아 생산 속도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암모니아는 연소 때 이산화탄소가 전혀 배출되지 않는 등의 특성으로 상용화 가능성이 큰 차세대 친환경 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 암모니아 생산 공정인 하버 보쉬법이 영상 400도, 200기압 이상 높은 에너지 조건을 요구하는 데 반해 연구팀이 개발한 전기화학 시스템은 상온·상압 조건에서 가능해 공정 설비와 비용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
한편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 학술지인 ‘ACS 에너지 레터스’에 지난 11일 게재됐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