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여객 사태 해법찾나…자회사 설립 고용승계 검토
신도여객 양도·양수 과정에서 불거진 고용 미승계 사태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울산시가 신규 회사를 설립해 고용을 승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근로자 자주관리기업 설립 카드를 만지작거리던 민주노총이 시의 제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함에 따라 해법이 도출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8월 대우여객의 신도여객 양도·양수 과정에서 채용되지 않은 승무원들이 7개월째 울산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있다.
양도·양수 당시 대우여객은 신도여객 승무원들의 100% 고용 승계를 제시했지만, 민주노총은 퇴직금 일부 지급과 호봉 삭감 등의 제안이 포함돼 있다며 이를 거부했다. 이에 따라 민주노총 소속 승무원 52명의 대우여객 고용 승계는 불발됐다.
이후 민주노총 소속 일부 승무원은 추가 채용 절차를 통해 일부 재취업했다. 대우여객에 5명이 입사했고, 6명은 입사를 기다리고 있다. 6명은 학성여객, 3명은 한성교통에 일자리를 찾았다.
2명은 퇴사했고, 민주노총 소속 15명과 민주노총에서 탈퇴한 15명 등 30명의 고용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민주노총의 집회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시는 해법 모색을 위해 신규 회사를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최근 지역 운송업체인 유버스그룹은 차량을 10대 증차한 뒤 내부 법인분할을 통해 자회사를 신설하는 방안을 시에 제안했다.
유버스그룹 소속 4개 회사 중 3개 회사에서 차량 10대씩과 일부 노선을 갹출해 자회사를 신설하는 대신 버스를 10대 증차하고, 노선을 증설한다는 계획이다. 필요한 인력은 신규 충원을 통해 미고용 상태인 신도여객 출신 30명을 채용한다는 것이다. 시는 유버스그룹의 제안을 받은 뒤 이행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
민주노총은 근로자 자주관리기업 설립 방안을 시에 제안하고 있다. 근로자가 주식을 보유해 직접 회사를 운영한다는 취지다. 대우여객에 넘겨준 신도여객의 버스와 노선을 사해행위 취소 소송을 통해 되찾아 온 뒤 근로자들이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시와 민주노총은 이날 신도여객 사태 해결을 위한 회의를 열고 절충점을 모색했다. 시는 유버스를 통한 고용 승계 방안을 제시했고, 민주노총은 이를 수긍한다고 답변했다. 시와 민주노총은 유버스그룹이 신규 법인 설립 관련 검토 문서를 작성해 제출하면 다시 회의를 열고 구체적인 해법을 찾기로 했다.
한편 노동당과 정의당, 진보당 등 진보 3당은 이날 시의회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도여객 사태와 이용주 해고 노동자의 죽음에 대해 송철호 시장의 결자해지를 촉구했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