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운문댐 물 울산 공급 협정체결도 서둘러야 한다
2022-04-05 정명숙 기자
이 협정대로라면 구미 해평취수장에서는 하루 평균 30만t의 물을 추가로 취수해 대구·경북지역에 공급한다. 그동안 대구지역 식수원이었던 운문댐 물은 반구대 암각화(국보 285호) 보존을 위해 식수원인 사연댐의 수위를 낮추는 울산에 공급한다. 울산의 입장에서 보면 이제 겨우 ‘반구대암각화 보존과 울산식수 확보 동시해결’의 첫 단추를 끼웠다. 하지만 아직도 갈 길은 멀다.
이날 협정체결이 순탄치 않았다는 점이 우선 불안 요인이다. 협정체결은 당초 구미시청에서 할 예정이었으나 구미시의회와 시민단체들의 반대로 인해 세종시로 장소를 옮겨 겨우 진행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를 비롯해 국무조정실과 환경부, 대구시, 경북도, 구미시, 수자원공사 관계자들이 참여했으나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참석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이 협정이 법적 구속력을 갖는 것도 아니다. 추후 구미지역에 대한 보상과 지역여론, 단체장의 의지, 정치적 변수 등에 의해 바뀔 가능성도 없지 않다. 6·1지방선거를 앞두고 구미지역 출마자들이 표를 의식해 주민들의 편을 들고 나서게 되면 후속조치는 더욱 어려워진다. 게다가 환경부와 수자원공사, 대구시가 구미지역에 제공해야 하는 보상책에 대해 울산시의 분담을 요구할 수도 있다.
청도 운문댐의 저수량에 대한 점검도 필요하다. 지난 겨울부터 이어진 가뭄으로 인해 현재 운문댐의 저수율이 36%까지 낮아졌다.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유역본부는 지난달 29일 운문댐용수공급조정기준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높였다고 밝혔다. 지난 2017년에도 운문댐의 저수율이 8.5%로 떨어지면서 단수위기를 겪은 적이 있어 심각한 가뭄의 연례화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운문댐에만 기대고 있는 울산으로서는 난관이 적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와 울산시의 계획은 2025년까지 사연댐 수위를 낮추고 2028년 운문댐 물을 울산에 공급한다는 것이다. 계획대로 되려면 ‘운문댐 물을 울산에 공급한다’는 협약체결만이라도 이번 정부에서 반드시 마무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