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다양성이 아쉬운 울산 선거판
이번 울산시장 선거는 역대 최초의 1대1 양자대결로 치러질 예정이다.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된 이후 진보야당이 울산시장 선거에 나오지 않은 것은 이번 지방선거가 처음이다. 일찍이 출마선언과 예비후보 등록을 마친 진보야당의 상황을 고려해볼때 지방선거를 50여일 남겨두고 후보를 찾기란 사실상 불가능해보인다. 거대양당의 물고 물리는 전쟁 속 소수정당이 설 자리는 점점 사라지는 모양새다.
가장 최근 선거인 제19대 대선 당시 이러한 상황은 더욱 대두됐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40.79%)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54.41%) 후보의 지지율은 전체 지지율의 95.2%를 차지했다. 두 후보를 제외한 나머지 10명의 후보가 4.8%의 지지율을 나눠가진 것이다.
지지율 1%가 넘는 정의당 심상정(2.92%) 후보와 국가혁명당 허경영(1.26%) 후보까지 포함시킬 경우, 나머지 8명의 후보는 0.62%의 지지율을 나눠가진 것으로 집계된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2파전으로 봐도 무방할 정도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진보야당(소수정당)이 일어설 자리는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제7대 울산시의회는 민주당 17명, 국민의힘 5명으로 양당이 양분하고 있으며, 5개 구·군으로 범위를 넓혀봐도 무소속 2명, 진보당 1명을 제외하곤 모두 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소속이다. 두 정당이 120만 울산시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매 선거철마다 우리나라가 다당제 국가인가에 대한 자아성찰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런 가운데 소수정당들은 나름대로 살아갈 방책을 만들어가고 있다. 노동자나 소수약자를 주요 지지층으로 삼고 이들을 대변하는 공약들이 매 선거철마다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 울산시민들은 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닫고 있다. 분명 본인이 추구하는 공약임에도 이념이 다르다는 이유로 소수정당의 후보를 지지하지 않는다. 내 표가 사표가 되는게 싫다는 이유에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우리나라는 지난 2019년 12월 선거법 개정을 통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부분적으로 도입했다. 그러나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지난 21대 총선에서 거대양당을 제외한 소수정당이 차지한 의석은 전체 300석 가운데 17석에 불과했다.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확대가 꾸준히 제기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번 대선에서 국민들이 제기한 가장 큰 불만은 거대양당 후보 중 누구도 마음에 드는 인물이 없다였다. 선택지가 2개 밖에 없는 상황에서 두 후보 모두 선택하기 싫으면 어떻게 해야하냐는 푸념도 자주 들렸다. 우리나라 선거도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2개의 정당보다 더 많은 정당이 120만 울산시민의 목소리를 다양하게 반영하면 어떨까 싶다.
권지혜 정경부 기자 ji1498@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