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읍면동 60.6% 소멸 위험에 처해
동남권 경제가 인구감소와 양질의 일자리부족, 민간투자 위축, 성장잠재력 약화 등 각종 악재가 겹치며 경제활력을 잃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NK금융그룹 소속 BNK경제연구원은 7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동남권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발전과제’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권 인구는 2016년 감소세로 전환된 이후 감소폭이 확대되고 있다. 인구가 빠르게 줄면서 지난 2월 기준으로 동남권 566개 읍면동 중 60.6%에 해당하는 343개가 소멸위험에 처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출산율 둔화 및 고령화 진전 속도가 크게 높아지면서 지역 인구 감소세는 향후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경제권역별 성장잠재력지수 | ||||
지역 | 2010년 | 2020년 | ||
순위 | 지수 | 순위 | 지수 | |
수도권 | 2 | 1.062 | 1 | 1.199 |
충청권 | 1 | 1.080 | 2 | 1.177 |
강원제주권 | 6 | 0.854 | 3 | 0.991 |
호남권 | 5 | 0.891 | 4 | 0.951 |
대경권 | 3 | 0.921 | 5 | 0.871 |
동남권 | 4 | 0.916 | 6 | 0.867 |
동남권은 2020년 합계 출산율이 부산 0.75명, 울산 0.98명, 경남 0.95명까지 낮아진 가운데 2024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예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동남권은 경제활력 반등의 모멘텀을 찾는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의 지역성장잠재력 조사에서도 동남권은 2020년 기준 국내 경제권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또 취업자수 증가세가 전국 평균을 밑도는 가운데 지식서비스업, 고소득 일자리 등 인재유출을 막고 인재 유입을 견인할 양질의 일자리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2013~2020년 중 동남권의 지식서비스업 취업자수 증가율은 0.8%로, 이는 수도권의 16.8%에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또 동남권의 고소득 일자리 취업자수가 3.3% 감소한 반면 수도권은 8.2%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보고서는 역대 정부들이 다양한 지역발전 정책을 추진했음에도 불구하고 인구, 소득, 투자 등의 수도권 집중현상이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따라서 새롭게 출범하는 신정부는 동남권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지역발전 정책이 제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기존의 문제점과 한계를 면밀히 검토하고 이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영두 BNK경제연구원장은 “신정부 출범 초기에 상징성 있는 지역균형발전정책을 과감하게 추진해 나가야 한다 ”면서 “여야 합의와 공감이 이뤄진 정책의 경우 조기에 가시화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집행 속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