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이양·안보태세 집중, 신구권력 갈등 뇌관 곳곳에

2022-04-11     이형중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0일로 임기를 정확히 한 달 남겨두게 됐다. 문 대통령은 남은 기간 지난 5년의 국정성과를 돌아보고 정부의 인수인계가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하는데 힘을 집중할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북한의 추가 무력도발 가능성이 점차 고조되면서 문 대통령은 안보에 있어서는 임기 마지막까지 빈틈없는 대비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참모들을 독려하고 있다. 대선 직후 정국을 냉각시켰던 신·구 권력 정면충돌 국면은 윤석열 당선인의 대통령집무실 이전 예비비가 국무회의를 통과하며 한고비를 넘겼지만, 인사 문제 등으로 언제든 갈등이 재점화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文정부 성과’ 인수인계 주력

문 대통령은 최근 참모들에게 정권이양 작업이 최대한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최대한 협조하라고 수시로 독려한다고 한다. 다음 정부가 안정적인 기반 위에 새 출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현 정부의 남은 과제라는 것이 문 대통령의 확고한 생각이라고 참모들은 설명했다. 여기에는 정권이 교체되긴 했으나 문재인 정부의 정책 중 이견이 없는 정책들은 다음 정부에도 어느 정도 계승되도록 해야 한다는 생각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인수위원회 측이 부동산 정책이나 탈원전 정책 등 현 정부의 핵심 정책에 대한 기조를 뒤집으며 ‘문재인 정부 지우기’에 나서고 있지만, 이와 별개로 나름의 성과를 낸 정책들까지 뒤로 돌릴 수는 없다는 것이다. 안보 문제 역시 문 대통령은 차기 정부와 최대한 협조하겠다는 입장이다.



◇한고비 넘긴 신·구권력 갈등, 인사문제·검찰 수사 등 뇌관

대선 이후 격화되던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 사이의 신·구권력 갈등은 가장 큰 쟁점이었던 대통령집무실 예비비 문제가 마무리되며 한고비를 넘긴 모양새다. 정부가 지난 6일 윤 당선인이 요구한 예산 가운데 1차 예비비를 우선 의결한 데 이어 이달 내 추가로 2차 예비비를 의결할 계획이어서 이런 ‘협조 모드’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서는 가장 어려웠던 관문을 물밑조율로 잘 통과한 만큼 남은 과제들은 크게 걸림돌이 되지 않으리라는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뇌관은 남아있다.

우선 중앙선관위 상임위원 등 주요 보직자에 대한 인사권 문제를 두고 양측이 다시 이견을 노출할 우려가 있다. 또 윤 당선인 측에서 문재인 정부의 공공기관 인사를 겨냥해 ‘알박기’라는 비판을 이어가고 있는 만큼 이 문제가 갈등 재점화의 도화선이 될 가능성도 있다.

조금씩 잦아드는 양상이긴 하지만 김정숙 여사의 ‘옷 값’ 문제, 이에 따른 특수활동비 사용처 문제 등도 언제든 다시 부상할 수 있다.

문재인 정부를 겨냥한 검찰의 수사가 변수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김두수기자·일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