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동력vs견제…여야 6·1지선 격돌

2022-04-11     김두수 기자
20대 대선에서 0.73%p차이로 격돌한 여야가 6·1지방선거 리매치에 돌입했다. 사실상 지지층 결집 총력전 2라운드다.

4년 전 독식한 지방권력을 수성하겠다는 더불어민주당과 대선승리의 여세를 몰아 지방권력을 탈환하겠다는 국민의힘 모두 총력전 모드다.

이번 지방선거는 오는 5월10일 윤석열 정부 출범 뒤 불과 22일 만에 치러지는 만큼 정권 심판론보다는 대선 연장전 성격이 짙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새 정부에 힘을 실어주자는 민심이 다시 한 번 표출되면서 대선 성적표와 어느 정도 연동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른바 ‘예비 집권당’인 국민의힘은 이번 지방선거의 성패에 윤석열 정부의 집권초 국정동력이 달렸다고 판단하고 있다.

거야의 입법독주를 막고 새 정부의 국정 과제를 관철하려면 지방선거 승리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권성동 신임 원내대표가 정권교체를 절반의 성공이라고 규정, “지방선거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얻어야만 국정운영 동력이 생긴다”고 말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다. 국민의힘으로선 민주당으로 기운 지방권력의 탈환을 시도한다는 의미도 있다.

국민의힘은 2018년 지방선거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여파 속에 17개 시·도지사 중 대구와 경북 등 단 두 곳만 건졌다. 따라서 이번 지방선거에서 지방권력의 불균형을 바로잡고 2년 뒤 총선의 승리 교두보를 확보하겠다는 각오다. 국민의힘은 문재인정부 실정과 대선 정국에서 논란이 됐던 이재명 전 경기지사 의혹을 겨냥한 ‘야당 심판 프레임’을 가동할 태세다.

대장동 개발 비리·특혜 의혹과 부동산 문제, 코로나로 심화한 경제위기·양극화 등을 선거 과정에서 집중적으로 부각하겠다는 것이다.

대선에서 패배한 민주당 역시 지방선거 승리가 절실한 상황이다. 지방선거가 대선 표심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새 정부 초기 통상의 허니문이라는 현실을 고려하더라도, 패배해서는 안 된다는 절박감이 당내에 팽배해 있다.

지난 2018년 지방선거 압승을 통해 확보했던 지방권력을 상당수 내준다면, 윤석열 정부나 국민의힘을 견제할 동력이 상당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새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가 8월로 예정된 상황에서 당내 내홍을 키우는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

민주당의 전략은 큰 틀에선 새 정부 견제론을 내세워 지방선거 표심에 호소하겠다는 각오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를 필두로 새 정부 인사청문회 정국이 본격적으로 전개됨에 따라 ‘현미경 검증’을 통해 윤석열 정부 첫 내각의 난맥상을 집중적으로 파고들 태세다.

윤호중 비상대책위와 원내지도부는 검찰·언론개혁 드라이브를 거는 한편, 대선 패인으로 꼽히는 부동산세 저항 민심을 누그러뜨릴만한 입법에도 부심하고 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