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2년여만에 ‘일상회복’…선제검사도 사실상 중단
신종코로나 사태로 2년 넘게 원격수업 병행과 교육활동 제한을 겪은 학교가 ‘포스트 오미크론’ 체계로 전환해 일상회복에 나선다.
내달 1일부터 전국 모든 유치원·초·중·고등학교가 전면 등교와 함께 교과·비교과 활동을 정상적으로 할 수 있고, 신종코로나 자체조사 체계는 종료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 학교 일상회복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일상회복은 이달까지 ‘준비단계’, 5월22일까지 ‘이행단계’, 이후 1학기까지는 ‘안착단계’로 나눠 진행된다.
이달 말까지는 확진자를 7일간 격리하고 학교가 유증상자·고위험 기저질환자 중심으로 접촉자를 조사하며 선제적 자가검사를 1회 실시하는 학교 방역·등교 기준이 유지된다.
이어 5월1일부터는 모든 학교가 정상등교로 온전한 일상회복을 본격 추진한다.
학습도구와 특별실 공동 사용, 모둠활동뿐 아니라 학급·학년 단위 소규모 체험활동 등 행사를 운영할 수 있고, 숙박형 프로그램(수학여행)도 구성원 의견 수렴을 거쳐 학교가 결정·시행할 수 있다.
이달 말까지 주 1회 권고됐던 선제 자가검사는 시도교육청이 여건에 따라 자율적으로 하도록 해 사실상 중단될 것으로 전망된다. 학교가 해오던 접촉자 자체조사도 종료된다. 유증상자와 고위험 기저질환자에 대해서만 24시간 내 신속항원검사를 받도록 권장한다.
또 교육부는 내달 23일부터는 방역 당국의 확진자 격리기준 등 방역 지침 변경에 따라 등교·출결·평가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방역당국이 신종코로나 확진자의 격리 의무를 권고로 확정하면 1학기 기말고사에 확진자 응시가 가능해진다. 중간고사까지는 확진학생의 응시 제한과 인정점 부여 방식으로 논란이 돼 왔다. 이우사기자 woos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