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스마트 도시 조성, 5년간 2955억 투입
울산시가 시민 체감형 미래도시를 위해 5년간 2955억원을 투입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춘 스마트도시를 조성에 나선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지난 22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앞으로 5년간 추진할 스마트도시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울산 스마트도시 비전은 ‘시민 체감형 미래도시, 스마트 울산’이다.
시는 연결을 통한 집단지성 도시, 지속 가능한 산업도시, 사람의 가치를 더 높이는 디지털 인재 도시 조성 등을 목표로 교통·환경·안전·산업·행정 등 7대 분야에서 36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사업에는 오는 2026년까지 총 2955억원이 투입된다. 분야별 주요 사업과 사업비를 보면 ‘수요 맞춤 스마트 교통’ 분야에서는 6개 사업에 344억원이 투입된다. ‘탄소중립 그린환경’ 분야는 6개 사업에 570억원이 투입된다. ‘일상안심 스마트안전’ 분야는 4개 사업으로 구성됐으며, 사업비는 130억원이다. ‘소외 없는 스마트복지’ 분야는 4개 사업에 290억원이 투입되며 ‘오감만족 문화·관광’ 분야는 126억원을 들여 등 3개 사업을 추진한다. ‘디지털 혁신 산업·경제’ 분야에서는 8개 사업에 1399억원이 투입되고, ‘시민참여 플랫폼 행정’ 분야는 96억원을 들여 5개 사업이 진행된다.
스마트도시 서비스는 공간계획에 따라 6개 생활권역과 2개 특화지역으로 구분돼 지역 특성에 맞게 제공한다. 6개 생활권역은 중구, 남구, 동구, 북구, 울주군 서부, 울주군 남부로 구분됐다. 2개 특화지역은 신도시와 산업단지로 설정됐다.
특히 올해부터 조성되는 다운2지구 등 신도시 특화지역은 빗물과 지하수를 자동 분사해 미세먼지와 열섬현상을 줄여주는 스마트 클린로드, 늦은 밤 귀갓길 안전을 지켜주는 드론 안심 지킴이 서비스, 수소차-전기차 충전 융합스테이션 등 차별화된 스마트도시로 구축된다.
미포국가산업단지 특화지역도 산업단지 대개조 사업과 연계한 스마트그린 산단 통합관제시스템, 스마트 물류·에너지 온라인 체제 기반 등이 설치돼 근무 환경과 여건이 한층 개선될 전망이다.
시는 스마트도시 구축으로 일자리 3000여개 창출, 생산 유발 약 5100억원, 부가가치 유발 약 2190억원 등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