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부유식해상풍력 뒷받침할 종합지원콤플렉스 조성 본격화

2022-04-26     이춘봉
울산시가 민선 7기 역점 사업인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의 경쟁력 확대를 위해 종합 지원 콤플렉스 조성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시는 2024년까지 콤플렉스 내에 부유식 해상풍력 관련 연구소와 실증시험센터 등을 구축한다는 계획인데,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 기조가 변할 경우 사업 지속성에 의문부호가 제기될 것으로 우려된다.

25일 시에 따르면, 시는 온산국가산단 일원에 부유식 해상풍력 시험·평가 실증 및 실해역 테스트베드 등을 구축하는 부유식 해상풍력 종합 지원 콤플렉스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부유식 해상풍력 상용화 확대 및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기술 지원 기반을 구축하는 게 골자다. 인증에 필요한 설계 지원 및 부품 시험·형식 시험 인프라 등은 물론 해상 테스트베드도 구축한다.

사업 기간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년간이다. 국비 150억원, 시비 145억원 등 총 사업비 295억원이 투입된다. 지난해 예산 3억원을 투입해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최근 완료했다.

시는 올해 사업을 위해 당초예산 편성 과정에서 국비 25억원을 확보했고, 이후 올해 당초예산상 정부 지원액은 31억원으로 6억원이 더 늘어났다.

올해 최종 정정된 총 사업비는 59억8000만원으로, 시는 국비 19억8000만원에 시비 40억원을 투입해 올해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이 사업이 4년 동안 지속되는 만큼 올해 국비가 줄었더라도 내년 이후 다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일단 부족분은 시비 매칭분을 확대해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올해 예산으로 각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과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구입하고 시험평가인증센터의 입지를 선정해 착공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시는 빠르면 이번 주 중으로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및 울산테크노파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사업비를 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으로 이관한 뒤 본격적인 사업화에 들어가기로 했다.

문제는 올해 거액의 국·시비를 투입해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더라도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 기조가 원전 중심으로 재편될 경우 내년 이후 사업 추진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사업 축소는 물론 최악의 경우 정부가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의 상용화 속도를 조절하거나 사업 자체를 취소하게 되면 종합 지원 콤플렉스 사업은 무산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자칫 60억원이 넘는 국·시비를 투입하고도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사업이 마무리될 수 있다는 의미다.

울산시 관계자는 “민간사업자가 추진 중인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과는 별개로 관련 기술력을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