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5월말에 ‘실외마스크 해제’ 검토
2022-04-28 김두수 기자
특히 내달 10일 ‘윤정부’ 출범직후 한달 안에 코로나 재유행 대비 병상·인력 확보와 고위험·취약계층 보호 대책을 마련하고 먹는 치료제 101만명분을 추가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100일 안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기준을 업종이 아닌 밀집·밀폐 정도로 변경하는 방식 등을 검토할 전망이다.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에서 코로나비상대응특별위원회 보건의료분과가 논의해 확정한 ‘코로나 비상대응 100일 로드맵’을 발표했다.
100일 로드맵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방역정책 추진 체계 마련’ ‘지속가능한 감염병 대응체계 확립’ ‘고위험·취약계층의 두터운 보호’ ‘안전한 백신·충분한 치료제 확보’ 등 4개의 추진방향 아래 34개 실천과제로 마련됐다.
인수위는 새 정부 출범 후 30일 이내 추진할 과제, 50일 이내 추진할 과제, 100일 이내 추진할 과제로 실천과제를 분류했다.
우선 30일 안에 ‘실외마스크 프리’ 선언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안 위원장은 “5월 하순 정도에 상황을 보고 판단하려 한다. 외국 선진국에서 실외마스크를 해제한 수준 정도로 (감염자 수가) 내려오면 가능하지 않을까 한다”고 했다.
전국 단위 대규모 항체 양성률 조사 시행도 30일 과제에 포함됐다.
고위험군은 코로나 검사부터 치료까지 ‘패스트트랙’을 밟고 검사 당일 팍스로비드를 처방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먹는 치료제 물량을 기존 도입 예정물량인 106만2000명분에 100만9000명분 추가 도입하는 방안도 한달 안에 확정한다.
50일 이내엔 응급·특수 환자 치료체계와 돌봄취약계층 심리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동네 병·의원 등 일반의료 중심으로 코로나 대응체계를 전환한다. 또 대통령 직속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기구를 설치하고 일상회복지원위원회는 폐지하기로 했다.
100일 안에는 과학적 근거 중심으로 생활방역체계를 재정립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방식을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