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건강연대 “시장 후보에 의료정책 제안”
2022-04-28 강민형 기자
이들이 제안한 정책은 △울산의료원 설립-예비타당성 조사면제 △울산의대 울산환원 △울산공공보건의료 지원 조직확충 △울산시 저소득층 건강보험료 지원 조례제정 △울산공공어린이재활센터 설립 △울산장애인건강지원센터 설립 △국가산업단지 환경보건연구소 유치 △유해화학물질 측정망 확대 등 8가지다.
이들은 “울산의료수준 낙후에서 벗어나기 위해 울산의대는 울산시민의 품으로 돌아와야 한다”며 “울산대학교 병원이 울산의대 부속병원으로 지정됐지만 의대생 교육·수련은 서울아산병원에서 대부분 이뤄진다. 그 결과 울산대병원은 수련의·의료인력 부족, 기초의학·의료정책 연구 부재 등의 문제점을 안게 됐다”고 지적했다. 또 이들은 ‘울산의 공공보건의료 지원 조직·예산확대’를 주장하며 “주민이 주체가 된 건강생활지원센터를 각 구군별로 1개 이상씩 설립해야한다. 공공보건의료지원단과 감염병관리지원단은 대규모 감염병 사태 반복 예방을 위해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들은 “오는 7월 최저보험료 실행으로 저소득층의 보험료 부담이 인상되면 경기침체로 인해 건강악화로 이어질 것을 대비해 지원대상의 편차를 줄이고 상대적 박탈감을 해소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울산건강연대는 장애아동을 위한 공공어린이재활센터 설립과 장애인 건강권 보장 위한 지역장애인 보건의료센터 설치를 제안했다.
이들은 “울산은 광역시임에도 (장애아동을 위한 전문) 병원이 4개 미만으로 상당히 부족하다. 뇌성마비 환자의 62%, 발달지연 환자의 25%만 울산에서 재활치료 중”이라며 공공어린이재활센터의 필요성과 함께 “장애인을 위한 의료기관 정보 제공·연결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장애인보건센터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유해물질과 건강의 상관관계 규명 등을 통해 유해화학물질 배출 감소와 지역 주민의 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고 현저히 부족한 대기중금속 측정망과 유해대기물질 측정망을 확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민형수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