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하명수사·선거개입 의혹 수사 정점으로...檢, 송철호 울산시장 피의자 적시
송병기 부시장·한병도 前 청와대 정무수석 같은 혐의
檢, 지난 24일 울산경찰청·남부서 등 대대적 압수수색
임동호 자택 압수수색 과정서 宋시장 적시 사실 확인
宋시장·황운하 前 울산경찰청장 소환 임박 관측 제기
청와대 하명수사·선거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송병기 울산시 경제부시장 및 한병도 전 청와대 정무수석과 함께 송철호 울산시장을 피의자로 적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송 부시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가 임박한 가운데 울산경찰청 등에 대한 압수수색까지 전방위로 진행되면서 검찰의 수사가 절정으로 치닫고 있다. 서울중앙지검은 지난 24일 하명수사·선거개입 의혹과 관련해 울산지방경찰청과 울산남부경찰서 등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검사와 수사관 20여 명을 보내 울산청 지능범죄수사대, 정보과, 홍보담당관실, 울산 남부서 지능팀 등을 압수수색했다.
울산청 지수대는 김기현 전 울산시장의 측근비리 의혹을 수사했고, 정보과와 홍보담당관실은 수사 상황을 경찰청 본청에 보고한 부서들이다. 남부서 지능팀은 당시 수사에 참여했다가 교체된 담당자가 근무하고 있다.
검찰은 압수수색 영장에 지난해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김 전 시장 측근 비리를 수사한 경찰관들에 대해 공직선거법 위반과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를 적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압수수색은 앞서 검찰이 울산청 지수대장을 비롯해 경찰관 6~7명을 소환 조사할 당시 이들 중 일부가 당시 수사 서류를 임의 제출하지 않아 추가자료 확보 차원에서 실시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검찰은 압수수색에서 김 전 시장의 측근 비리를 수사한 경찰관들의 컴퓨터 파일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자료를 분석해 지난해 경찰이 수사를 벌인 경위 전반을 따져보면서 수사 관련 사항이 상부에 보고된 내용 등 하명수사 의혹을 뒷받침할 단서를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일부 압수물을 놓고 검찰과 울산청 관계자 사이에 마찰이 빚어지기도 했다. 검찰이 수사 관계자의 업무일지와 달력 등을 가져가려 하자 경찰 측이 압수수색 불허 물품에 해당한다고 반발했고, 결국 해당 물품은 돌려줬다.
검찰은 김 전 시장 측근 비리 수사착수 경위와 진행 과정, 황운하 전 울산경찰청장(현 경찰인재개발원장 내정)이 2017년 8월 취임한 뒤 수사팀을 교체한 이유 등에 대해 조사한 바 있어 조만간 황 청장을 소환조사할 것으로 관측된다.
검찰은 또 같은 날 임동호 더불어민주당 전 최고위원의 울산 중구 우정동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도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송 시장이 피의자로 적시된 사실이 처음 확인됐다.
검찰은 압수수색 영장에 ‘송철호, 송병기, 한병도 공직선거법 위반 관련 압수수색’이라고 적시했다. 송 부시장 외에 송 시장과 한 전 정무수석이 같은 혐의를 받고 있는 것이다.
검찰은 임 전 위원이 지난해 울산시장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가 송 시장이 단수 후보로 공천되는 바람에 출마가 무산된 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당시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과 한 전 정무수석 등 청와대 관계자들이 임 전 최고위원에게 공직을 제안하며 후보 사퇴를 요구한 것이 공직선거법상 선거개입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임 전 최고위원이 민주당 최고위원을 지내던 2017년 회의 자료와 선거 전략 등이 담긴 문서 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 전 최고위원의 측근을 통해 휴대전화도 압수 물품에 포함됐다는 이야기도 전해졌다. 임 전 최고위원의 전화기는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다.
검찰은 이와 별도로 임 전 최고위원과 친분이 있는 A씨의 주변을 경찰이 내사했다는 의혹에 관해서도 사실관계를 파악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수사가 급물살을 타면서 송 시장과 황 청장의 소환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주변 인물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한 만큼 사건의 ‘윗선’에 대한 조사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한편 송 부시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도 눈앞으로 다가왔다는 관측이 많다. 검찰은 송 부시장이 송 시장과의 전화 통화를 통해 증거를 인멸하려 한 정황을 포착하고 영장을 청구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이춘봉·김봉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