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공공요금 동결, 전반적 소비자물가 안정까지 이어지길
2022-05-19 이재명 기자
시는 18일 시청 국제회의실에서 2022년 제2차 물가안정 대책회의를 열고 공공요금 안정화 대책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시는 가정에 공급하는 일반용 도시가스, 수도요금, 대중교통 요금 등을 동결하기로 했다. 단 택시 요금은 8월까지 관련 용역을 진행한 뒤 결과에 따르기로 했다. 시는 또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 현재 104곳인 착한가격업소를 연내 10~20%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종량제봉투와 온누리상품권 등의 지원 폭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동남지방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울산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4월 울산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8%, 전년동월대비 4.8% 각각 상승했다. 울산지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3.1%) 9년8개월 만에 3%대로 올라선 뒤 11월(3.8%), 12월(3.8%), 1월 (3.6%) 2월(3.5%) 3월(3.9%)에 이어 지난달까지 7개월째 3%대 이상을 기록했다. 특히 4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4.8%로, 13년 5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인크루트가 최근 직장인 10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직장인 선호 4대 점심 메뉴(제육볶음 김치찌개 짜장면 돼지국밥)의 가격은 6000~7000원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의 경우 제육볶음은 7175원, 김치찌개는 7550원, 짜장면은 6300원, 돼지국밥은 7625원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에 의하면 4월 외식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6.6%나 상승했다.
모든 물품과 서비스가 오르는 와중에 이번에 울산시가 공공요금을 동결시킨 것은 최소한 취약계층에게 숨통을 틔우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공공요금 동결만 갖고는 물가를 결코 잠재울 수 없다. 윤석열 정부는 틈날 때마다 인플레이션의 선제적 차단을 주문한 바 있다. 울산시는 정부와 호흡을 맞춰 공공요금 뿐만 아니라 모든 부문에서 물가방어에 총력을 기울여주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