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지방이전 ‘먼일’, 44% 여전히 수도권 위치

2022-05-24     석현주 기자
자료사진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 추진됐지만, 공공기관 10곳 중 4곳 이상은 수도권에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곳 중 1곳 이상이 서울에 몰려 있었고 울산은 10개에 불과했다. 시군구 중에는 대전 유성구에 29개가 있어 가장 많다.

23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 시스템인 알리오에 따르면 공공기관 370개 중 서울 등 수도권에 44.3%인 164개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이 125개로 전체의 33.8%를 차지했고 경기가 31개(8.4%), 인천 8개(2.2%)다.

17개 시·도별로 보면 서울이 압도적으로 많고 그다음으로는 대전(40개), 경기(31개), 세종(26개), 부산(22개), 대구·전남(각 16개), 충북(14개) 등의 순이었다. 광주는 4개로 가장 적었고 제주(5개), 충남(7개), 인천(8개), 울산(10개), 경북(10개) 등도 적은 편이었다.

또 시군구 별로는 대전 유성구가 29개로 가장 많고 이어 서울 중구(21개), 세종 반곡동(17개), 서울 강남구(15개), 경기 성남(15개), 전남 나주(14개) 등의 순이었다.

한편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은 참여정부(노무현 정부) 때인 2005년 계획이 수립됐고,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돼 2019년에 마무리됐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계기로 부산, 대구, 광주·전남, 울산, 강원, 충북, 전북, 경북, 경남, 제주 등 10곳에 혁신도시도 형성됐다. 하지만 여전히 공공기관의 40% 이상이 수도권에 있다 보니 추가로 지방 이전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산하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회는 지난 4월27일 ‘지역균형발전 비전 및 국정과제’를 발표하면서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을 15개 국정과제 중 하나로 제시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