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가파른 오름세, 연말 2.5%까지 오를듯

2022-05-30     이형중
앞으로 수 개월간 5%대의 물가 상승률이 이어지고 미국까지 빅 스텝(한꺼번에 0.5%p 기준금리 인상)을 두세 차례 더 밟을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내 기준금리와 대출금리도 연말까지 가파르게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은 “중립금리 수준으로 기준금리가 수렴하도록 해야 한다”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발언 등을 근거로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앞으로 연말까지 0.25%p씩 세 차례 추가 인상을 통해 기준금리를 2.50%까지 끌어올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경우 대출자 입장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된 작년 8월 이후 올해 말까지 약 1년 6개월 새 불어나는 이자만 약 27조원, 1인당 130만원에 이를 전망이다. 중립금리는 경제가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압력이 없는 잠재성장률 수준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금리수준으로 경기에 중립적이라는 의미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6일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25%p 다시 올린 이후 시장에서는 연말까지 기준금리가 2.50%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부쩍 늘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는 26일(현지시간) 한국 경제전략 보고서에서 “한은이 7·8·10월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0.25%p씩 인상해 연말 기준금리가 2.50%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망대로 한은이 연말까지 세 차례 0.25%p씩 더 올리면 현재 1.75%인 기준금리는 연말 2.50%로 0.75%p 높아진다.

기준금리가 높아지면 그만큼 은행 등 금융기관의 조달 비용이 늘어나고, 결국 금융기관이 소비자에게 적용하는 금리도 올라갈 수밖에 없다.

기준금리가 현재(1.75%)보다 0.75%p 더 올라 올해 말 2.50%에 이르면, 이미 6% 중반에 이른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도 7%대를 훌쩍 넘어 8%에 근접할 가능성이 커진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는 27일 기준 연 4.048~6.390% 수준이다. 작년 말(3.600~4.978%)과 비교해 올해 들어 약 6개월 사이 상단이 1.412%p나 높아졌다.

석현주기자 일부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