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석유화학단지 ‘물류대란’ 우려 고조
화물연대가 오는 7일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파업에 따른 울산석유화학단지의 ‘물류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화물연대가 석유화학단지 4개 정문과 울산신항 입구 등을 통제할 것을 예고한 때문으로, 파업이 장기화 시 생산은 물론 수출차질에 따른 대외신인도 하락마저 우려된다.
2일 노동계와 경찰 등에 따르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는 7일 자정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나서는 것은 지난해 11월25~27일 이후 약 6개월 만이다. 울산에서도 전체 조합원 2600여명 중 1000여명이 참가 예정이다.
화물연대 울산본부는 총파업 당일 오전에 울산신항에서 출정식을 가진 후 석유화학단지와 신항·정일부두 등으로 이동해 출입문을 통제하고 이곳을 드나드는 트럭과 탱크로리 등의 출입을 제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석유화학단지는 ‘물류대란’이 빚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석유화학단지에는 롯데케미칼과 대한유화 등 총 21개 석유화학기업들이 입주해 있다. 이들 업체들은 원자재를 공급받아 석유화학 완제품을 생산해 상당 부분 수출하고 있는데, 화물연대가 통제를 하게 되면 원자재를 공급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수출길도 막힐 수밖에 없다.
석화단지 관계자는 “3~4일까지는 재고분으로 버틸수 있는데 그 이상 파업이 계속되면 생산차질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석유화학단지의 기업들은 러시아발(發)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인한 물류난까지 겹치면 삼중고에 시달리게 된다”며 파업방침 철회를 촉구했다.
석화단지는 경찰에도 지원을 요청했으며, 경찰은 불법 행위에 대해 강경한 대응 기조를 밝혀 충돌이 예상되고 있다.
화물연대는 △안전 운임 일몰제 폐지 및 전 차종·전 품목 확대 △운송료 인상 △지입제 폐지 및 화물운송산업 구조 개혁 △노동기본권 확대 및 화물노동자 권리 보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전국건설노동조합 울산건설기계지부 덤프지회도 2일부터 적정 운송비 보장을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갔다. 덤프지회 골재운송덤프조합원 60여명은 이날 울주군 범서읍 한 공터에 투쟁본부를 설치하고 결의대회를 열었다.
이번 파업은 예고된 상황이어서 레미콘업체와 건설 현장에 별다른 차질은 없지만 파업이 장기화하면 시멘트 제조 등에 차질이 우려된다. 차형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