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새 항암치료법 개발
2022-06-08 차형석 기자
UNIST(울산과학기술원)는 화학과 유자형 교수팀이 암세포 미토콘드리아 안에서 암세포 ATP와 결합해 거대 분자덩어리를 만들어내는 항암 유도물질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 물질을 투입한 암세포는 거대 분자덩어리 생성 과정에서 ATP가 소진돼 성장이 멈춘다. 또 분자덩어리가 거대하게 커지면서 미토콘드리아 막을 훼손시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를 일으키는 방식으로도 암세포 성장을 방해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세포 에너지원인 ATP를 제거하는 동시에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거대 자기조립체’ 형성을 유도하는 방식이 효과적인 항암 전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며 “향후 미토콘드리아 표적 약물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세포 에너지원인 ATP는 미토콘드리아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ATP가 부족하거나 ATP를 만드는 미토콘드리아가 망가지면 대사 장애가 일어나 세포가 죽는다.
정상 세포도 ATP를 만들지만 빠르게 증식하는 암세포는 ATP 농도가 더 높다. 연구팀은 바로 이 점에 주목해 고농도 ATP와 결합해 분자덩어리를 만들 수 있는 항암 유도물질을 개발했다. 정상세포에서는 ATP 농도가 낮아 이러한 분자덩어리가 만들어지지 않다.
이 분자 덩어리는 그 크기가 수백 나노미터 수준으로 커서 크기가 비슷한 미토콘드리아 막을 물리적으로 훼손시킨다. 또 분자덩어리 합성과정에서 ATP가 이 분자에 같이 뭉쳐져서 세포 내 ATP를 제거한다는 차별점이 있다.
암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암세포 성장이 정상세포 대비 느려짐을 확인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