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이틀째…현대차 납품 거부

2022-06-09     차형석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이하 화물연대) 총파업 이틀째인 8일 완성차 공장에 대한 거점 투쟁 등 곳곳에서 물리적 충돌이 일어나는 등 파업의 여파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완성차 공장 등 거점투쟁 확대

화물연대 울산지역본부는 이날 오전부터 울산신항과 정일컨테이너부두, 울산 석유화학단지 정문 등 주요 거점 6곳에서 집회를 이어갔다. 특히 이날 오후 2시부터 완성차 공장인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을 오가는 화물연대 소속 납품차량 운송 거부에 들어갔다.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조합원 차량들은 현대차 출입문 앞에서 회차하고 비조합원 차량만 회사로 들어가도록 해 부품조달 등에 차질이 빚어졌다.

경찰은 납품차량 운행 방해 등 불법행위 발생시 즉각 대응하기 위해 현대차 울산공장 주변에 경찰관과 기동대를 배치했고, 다행히 큰 마찰은 발생하지 않았다.

부산항에서는 오전 8시37분 조합원 2명이 신항 삼거리 선전전 현장을 지나던 트레일러 2대의 진행을 막아서며 물병과 계란을 던진 혐의로 경찰에 붙잡히는 등 경기도 이천과 광주 하남 등에서는 불법행위를 한 노조원들이 잇따라 경찰에 검거됐다.

의왕 내륙컨테이너 기지(ICD)에서는 노조원 300여명에 의한 봉쇄투쟁이 이어지고 있고, 광양항은 화물차 600여대로 둘러싸여 있는 등 곳곳에서 화물차 통행이 막혀 있는 상황이다.



◇정부-화물연대 안전운임제 일몰제 입장차 팽팽

하지만 정부와 화물연대 간 입장차는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화물연대는 최저임금제 격인 안전운임제 일몰 조항 폐지를 요구하고 있다. 안전운임제는 화물 기사가 낮은 운임 탓에 과로나 과속에 내몰려 사고를 내는 것을 줄이고자 2020년 도입된 제도로, 올해 연말 종료된다.

이 제도가 유지되면 운송료가 연료비에 연동해 오르내리기 때문에 최근처럼 유가가 급등해도 화물 기사의 수입이 줄지 않는다.

화물연대는 이번 총파업으로 전국 유통·물류 현장이 버틸 수 있는 기한이 대부분 2~3일에 불과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들은 “정부의 행태가 바뀌지 않고 탄압 일변도로 나가 투쟁 수위를 높일 수밖에 없다”며 “이른 시일 내에 전국 화물차(자동차) 생산 라인을 멈추고 유통·물류를 완벽하게 세울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어명소 국토교통부 2차관은 안전운임제 폐지와 관련해 “이 문제는 법률 개정 사항으로 국회에서 논의돼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화물연대는 2만5000명의 조합원 대다수가 운송을 멈춘 것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국토부는 전체(2만2000명)의 약 34% 수준인 7500여명이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추산했다.



◇울산경찰 불법행위 노조원 2명 사법처리 착수

한편 파업 첫 날인 지난 7일 도로를 점거하고 경찰관을 폭행한 화물연대 울산본부 소속 A씨 등 간부 2명에 대해 울주경찰서는 8일 특수공무집행방해치상 등의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A씨 등은 남구 석유화학단지 4문 앞에서 조합원들이 왕복 4차선 도로를 점검하게 하고, 공단 안으로 진입하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공단 진입 시도 과정에서 대치 중이던 경찰관들을 밀쳐 경찰관 3명이 가슴 통증, 다리 통증 등을 호소하며 병원으로 이송됐다. 당시 A씨 등 총 4명이 체포됐으나, 나머지 2명은 일반 조합원이고 가담 정도가 낮아서 귀가 조처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