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와 무관, 울산해상풍력 민간투자 지속

2022-06-10     이춘봉
윤석열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백지화함에 따라 문재인 정부가 집중하던 신재생에너지 확충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을 추진 중인 민간 투자사들은 정부의 정책 기조 변화에 무관하게 적극적인 투자 의지를 보이며 사업을 지속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9일 자크 에티엔 미셸 에퀴노르 한국지사장은 “속도 조절을 이야기하는 새 정부의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관련 기조는 잘 알고 있다”며 “새 정부의 에너지믹스를 구축하는데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이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사업 추진 의지를 밝혔다.

정부의 2050 탄소 제로 달성 목표가 유지되고 있는 한 저탄소 에너지 공급의 필요성은 여전한 만큼, 정치적인 변화와 상관없이 제 속도로 사업을 진행한다는 의미다.

이는 다른 민간 투자사들에서도 공통적으로 감지되는 분위기다. 가장 빠른 속도를 내고 있는 GIG-토탈은 에퀴노르보다 빨리 환경영향평가 절차에 본격 돌입했고, 나머지 3개 민간 투자사도 조만간 같은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김두겸 울산시장 당선인의 ‘사업 비정상 추진에 따른 국내 기업체 피해’ 우려 역시 충분히 납득하지만 기우라는 입장이다.

미셸 지사장은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면서 지역의 고용이 창출되고 있다. 이런 모델을 울산에 적용하려 한다”며 “스코틀랜드는 30㎿ 규모지만 울산은 GW 단위여서 지역 파급 효과가 더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에퀴노르는 올해 4분기 내로 터빈 공급 업체를 선정한 뒤 내년 중반까지 다수 업체와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이후 인허가 절차를 마친 뒤 2027년께부터 순차적으로 설비를 구축해 2028~2029년까지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타 민간 투자사 역시 비슷한 속도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민간 투자사들은 사업의 핵심인 경제성 확보에 대한 대비도 진행 중이다. 정부가 전기료 인상을 우려해 REC(신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 비율을 낮게 조정할 수 있지만 참여 과정에서 최대한 보수적으로 접근한 만큼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자크 에티엔 미셸 에퀴노르 한국지사장은 “리스크는 어느 나라에서나 존재한다. 정부의 각종 인허가 절차가 지연되더라도 완화 계획을 갖고 있어 철수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정부의 요건을 준수하고 충분히 소통해 울산에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는 의지를 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