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총선대비 2030 초점 당체계 완전개편”
2022-06-14 김두수 기자
이 대표는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사무처 당직자 월례 조회에서 “앞으로 우리는 선거 기계가 돼야 한다. 순풍이 아니라 역풍도 뚫어낼 수 있을 정도의 선거 역량을 갖춰야 한다. 이제는 어떤 역풍이 오더라도 우리 당의 철학과 선거전략과 기술을 바탕으로 그걸 버텨낼 당 조직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우리가 갖춘 조직이 과거와 다르게 지역적, 세대별로 많이 확장했다. 지금 우리에게 갓 들어오는 2030이 당에서 꾸준히 역할을 하려면 당이 크게 바뀌어야 한다. 젊은 세대가 당에 빨리 적응할 시스템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그는 “제가 당의 낙하산으로 비대위원이란 아주 좋은 자리로 박근혜라는 대단한 지도자에 의해 끌어올려졌음에도 당에서 역할 하려면 최소 10년이 걸린다는 걸 보여줬다”고 했다.
그는 “여성, 청년같이 과거에 우리가 취약했던 세대를 공략하기 위한 조직들이 더 커져야 한다”며 “젊은 세대와 취약했던 여성 계층은 단순히 표 얻는 대상으로 생각하는 게 아니라 그들이 당에 착근할 구조를 1년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대표는 “당세가 축소되는 시기에 지역 당사를 팔아버려서 예산을 마련해 중앙당에서 쓰는 경우가 있었는데 앞으로 남은 1년간 지역당, 시도당 투자를 많이 해야 할 걸로 보인다. 당장 호남에 대한 서진정책을 한다고 했는데, 우선 지역·지방 당사들을 다시 마련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나아가 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여연)을 확대 개편, 지금의 여연은 정책 기능을 강화한 제1연구원으로 두고, 여론조사 기능과 홍보, IT 관련 연구기능을 통합해 선거 전략을 주로 연구하는 제2연구조직을 만들고 당원 연수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그는 “이런 변화들을 앞으로 1년여간 꾸준히 이끌어 나가야 1년 반 앞으로 다가온 총선에서 승리를 일궈낼 수 있다. 1년 반 뒤 총선은 여당으로서 집권 2년을 마친 뒤 벌어지는 선거”라며 “그때 당연히 윤석열 정부의 성공으로 순풍이 불 것이라 기대하지만, 그 당시 어느 정도의 순풍이 불지, 때로는 일시적인 정치 상황에 역풍을 뚫어내고 선거를 해야 할지 모른다. 탄탄한 당의 역량 갖추고 선거에 대비해 나가야 하는 시점”이라고 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