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철회]이제 ‘공은 국회로’...여야, 안전운임제 의견차
2022-06-16 김두수 기자
안전운임제 보완 또는 수정 입법 작업은 국회의 몫이기 때문이다.
국회와 여야 정치권에 따르면 화물연대와 국토부가 합의한 만큼 안전운임제를 당장 폐지하지 않는 것에는 정부·여당도 어느 정도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지속 추진’이라는 표현을 두고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에 대한 각자의 해석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향후 입법 논의에서 험로가 예상된다.
더욱이 국회가 개점휴업인 상태여서 언제 입법 논의가 시작될지 기약하기 힘든 상황이다.
당장 어명소 국토교통부 2차관은 이날 “화물연대가 요구한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는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국민의힘도 일단은 안전운임제를 한시적으로 연장하는 데 무게를 두는 것으로 보인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언론 보도를 보니 정부 입장과 화물연대 발표에 차이가 있었다. 그 경위를 파악하고 안전운임제 연장 여부는 내부 논의를 거쳐 입장을 정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화물연대의 요구였던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에 동조하는 입장이다.
우상호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일몰제를 유지하는 것은 이 제도가 과도적이라는 주장이다. 시간이 지나면 화물트럭을 모는 차주들이 사라지기라도 하는 건가”라고 반문했다.
우 위원장은 이어 “국회가 언제까지 일몰 기간을 연장하는 방식의 바보 같은 짓을 할 것인가. 일몰제 폐지가 답이다”라고 부연했다.
화물연대 역시 이 같은 주장에 힘을 실으면서 정부와 여당을 향해 일몰제 폐지를 강하게 촉구했다.
이봉주 화물연대 위원장은 정의당과의 간담회에서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일몰제를 폐지하는 것으로 받아들인다”라며 “정부와 국토부는 합의 내용을 변질시키지 않았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벌써 합의안의 문구를 둔 해석의 차이로 논의에 험로가 예상되는 가운데 표류하는 여야 간 원구성 협상도 변수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