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준비위 꾸린 민주당 ‘룰의전쟁’ 본격화

2022-06-21     이형중
더불어민주당이 20일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 구성을 마치고 본격적인 전대 준비 체제로 들어가면서 ‘룰의 전쟁’이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전준위는 7월 하순으로 예상되는 후보 등록이 시작되기 전까지 한 달 남짓의 기간에 전대 규칙을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 세부 규칙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전대 출마 주자와 계파 간 이해가 엇갈리는 만큼 이 기간에 룰을 둘러싼 신경전은 더욱 가열될 전망이다.

가장 첨예한 쟁점은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투표 반영 비율이다. 민주당은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 일반당원 여론조사 5%의 비율로 가중치를 매긴다.

오랜 기간 당에 공헌한 바가 큰 대의원의 경우 옛 주류였던 친문(친문재인) 성향이 상대적으로 다수여서 현행 규칙으로 전대를 치르면 친문계에 그만큼 유리하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 때문에 친이재명(친명)계에서는 권리당원의 반영 비율을 높이자고 주장하고 있다.

이재명 상임고문은 지난 18일 인천 계양산 야외공연장에서 지지자들과 만나 “정당의 주인은 당원이고 나라의 주인은 국민”이라며 “‘당직은 당원에게, 공직은 국민에게’가 큰 원칙”이라고 말했다.

친명 성향의 당원 표심을 더 많이 반영되도록 하려는 의중을 담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친명계의 주장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현행 규칙이 ‘줄 세우기’와 같은 계파 정치의 폐해를 양산하는 만큼 민심을 더 많이 반영하는 데 필요한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박용진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이 고문의 발언을 두고 “변화와 혁신을 거부하는 낡은 인식이고 낡은 주장”이라고 지적했다.

당심과 민심을 각각 절반씩 반영하는 안을 요구해 온 박 의원은 “당심과 민심의 괴리에서 벗어나야 민주당은 민심의 너른 바다로 다시 나아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전대 룰을 고리로 삼아 현시점에서 사실상 가장 강력한 당권주자인 이 고문을 견제하려는 포석으로도 읽힌다.

초선 의원 모임인 더민초가 이날 오전 국회에서 한 ‘대선·지선 평가 및 제안 2차 토론회’에서도 이 고문의 당 대표 선거 출마 여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조속히 해소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계파 간 공방이 첨예해지는 가운데 전준위는 국회에서 1차 회의를 열고 전대 규칙 논의에 착수했다. 김두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