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이준석 ‘성상납 의혹’ 징계 논의…국민의힘 폭풍전야
2022-06-21 이형중
윤리위 결정에 따라 이 대표가 물러나고 당 지도부를 새로 뽑는 조기 전당대회 국면의 소용돌이로 빨려 들어가게 될지, 아니면 이 대표가 기사회생 후 임기인 내년 6월까지 ‘당 혁신 드라이브’에 박차를 가할지 운명이 갈릴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의힘 윤리위는 오는 22일 오후 7시 회의를 열어 지난 4월 징계 절차가 시작된 ‘성 상납 증거인멸 시도’에 대해 서면 소명 자료를 검토하고 이 대표 측 김철근 정무실장을 불러 사실관계 확인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국민의힘 당규의 윤리위 규정 21조는 징계를 제명·탈당권유·당원권 정지·경고 4가지 형태로 구분하고 있다. 만일 이 대표가 내년 6월로 예정된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중도에 물러나게 될 경우, 차기 당권을 노리는 주자들 간 경쟁도 조기에 점화하면서 당 내부에서 한동안 혼란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을 주축으로 하는 ‘민들레’와 차기 당권 주자로 꼽히는 김기현 의원이 주도해 만든 ‘혁신24 새로운 미래’ 등 모임 결성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등 당권 경쟁이 물밑에서 꿈틀대기 시작한 상황이다. 이에 이 대표의 사퇴로 조기 전대가 확정된다면 잠재적 주자들이 일제히 몰려나오며 정국이 조기에 치열한 당권 투쟁의 회오리에 삼켜지리란 전망이다.
당사자인 이 대표는 윤리위 활동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공개적으로 표출하고 있다.
그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경고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면서 결백을 주장하고 윤리위의 소명 제출 요구에도 응답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당내에서는 아직 수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데다 그간 당 지지세가 취약했던 청년층에서 이 대표의 활약을 바탕으로 적잖은 약진이 이뤄졌고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를 잇달아 이긴 당 대표라는 점에서 징계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없지 않다.
윤리위는 징계 결정과 수사 결과는 완전히 별개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국민 눈높이’를 내세우고 있다. 당 일각에서는 윤리위가 징계 결정을 아예 내리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도 있다. 윤리위가 당내 후폭풍을 고려한 정무적인 판단을 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엔 차기 총선 공천권과 관련한 문제도 얽혀 있다. 국민의힘 당헌은 궐위된 당 대표의 잔여 임기가 6개월 미만일 경우 원내대표가 그 직을 승계하고, 6개월 이상이면 임시전대를 열어 당 대표를 뽑되 임기는 전임 대표의 잔여 임기로 하게 돼 있다.
내년 6월까지가 임기인 이 대표가 만약 이번에 징계를 받고 물러난다면 새로 뽑힐 지도부의 임기도 그때까지이고 2024년 4월 치러지는 22대 총선의 공천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된다.
김두수기자·일부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