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29~30일 나토정상회의 간다
2022-06-23 김두수 기자
취임 약 50일만에 대면 다자외교 무대에 데뷔하는 것으로 이번 회의에는 배우자인 김건희 여사도 동행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이번 회의를 계기로 약 10개국과 양자회담을 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함께 한미일 정상회담도 추진 중이다.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미일 정상회담과 관련, 대통령실 관계자는 “아직 공식적으로 논의가 오가지 않았지만 개최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밝혔다.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은 전임 문재인 정부 초기인 2017년 9월 유엔총회 계기에 열린 바 있다. 이번에 성사된다면 4년9개월 만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미일 정상회담 의제에 대해 “안보협력에 초점이 맞춰질 수밖에 없다. 북핵 문제, 특히 최근 7차 북핵실험 가능성이 굉장히 우려되는 상황이니 안보협력에 초점이 맞춰지지 않겠느냐”고 했다.
미국이 중국 견제를 염두에 두고 3각 공조를 강조해왔고, 마드리드 나토회의에서 중국이 새로운 위협으로 규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이번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중국을 겨냥한 메시지가 나올지도 주목된다.
한·일의 경우 정식 양자회담 가능성은 불확실한 가운데 ‘풀어사이드’(pull aside·약식 회담) 형태로 대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대통령실 관계자는 설명했다.
특히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일정상회담 여부에 대해 “전혀 예측하기 힘들다. 약식회담도 가능할 것으로 저희는 예상하고 있다”고 했다.
정식 양자회담이 불투명한 상황에 대해선 “일본이 참의원 선거도 앞두고 있고 민감한 시점에 지금 갑자기, 외국 땅에서 다른 계기에 만난 회의에서 한일 의제에 집중할 수 있느냐는 우려가 양국에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의 나토 정상회의 참석과 관련, 김 실장은 브리핑에서 한국 정상의 참석 의미를 자유민주주의에 기반한 가치 연대 강화를 비롯해 포괄적 안보기반 구축, 신흥 안보에 대한 효과적 대응 모색 3가지로 나눠 설명했다.
‘가치연대 강화’와 관련, “나토를 구성하는 30개 동맹국은 자유민주주의·법치·인권 등 보편적 가치와 규범을 공유하는 우리의 전통 우방국”이라며 “이번 정상회의 참석을 통해 북핵·북한 문제와 관련해 우리 정부의 입장을 상세히 설명하고 참석국의 광범위한 지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포괄적 안보기반 구축’ 측면에선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사태 등 예측 불가능한 국제 정세 속에서 나토 동맹국들과 함께 포괄적 안보 네트워크를 구축할 것이다. 집단안보가 아닌 포괄협력을 나토와 도모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 “우리도 글로벌 리더 국가로서 역할을 한다는 차원에서 이미 공여된 지원 외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인도적 지원 추가 공여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정부는 이러한 활동을 뒷받침하기 위해 나토 본부가 소재한 벨기에 브뤼셀에 주나토 대표부를 신설할 계획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