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원구성 협상 물꼬 텄지만 여야 여전히 양보 없는 수싸움
2022-07-06 김두수 기자
핵심은 법제사법위원장을 비롯한 상임위원장 배분이다. 5일 현재까지 협상 상황을 종합하면 후반기 상임위는 전반기 때와 동일하게 18개 상임위(13개 전임 상임위+3개 겸임 상임위+2개 상설특위) 체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상임위원장 배분도 민주당 11개, 국민의힘 7개씩 배분하도록 한 지난해 7월 여야 합의의 틀을 벗어나지 않으리라는 전망이다.
국민의힘은 기존 여야 합의에 따라 법사위원장은 자당 몫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민주당 출신의 김진표 국회의장이 선출된 만큼, ‘상원’ 격인 법사위원장은 국민의힘이 차지해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법사위원장직과 관련해 본인이 박홍근 원내대표를 포함해 민주당 카운터파트로부터 여러 차례 이와 관련한 확답을 받았다며 자신하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법사위를 포함한 상임위 배분에 대해 여야가 조속히 협의할 문제라며 온도차를 보이는 상황이다.
법사위원장의 경우 국민의힘에 양보할 수 있지만, 사개특위 구성 협조와 검수완박 관련 헌재 소송 취하 등 자당이 내건 조건이 충족됐을 때만 가능하다는 게 민주당의 입장이다.
국민의힘은 법사위 외에 운영위와 국방위는 반드시 차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운영위의 경우 국회 운영을 총괄하며 대통령실을 피감기관으로 두는 만큼 위원장을 집권여당이 맡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민주당은 검찰 인사 편중 등 대통령실 내부의 문제점을 들여다보기 위해서라도 운영위를 가져오겠다고 주장한다. 원내 1당의 지위도 근거로 삼고 있다.
서해상 공무원 피살사건이 이슈화하면서 민주당은 국방위원회도 지켜내야 한다는 태도다.
행정안전위원회와 방송통신기술과학위원회도 여야 모두가 눈독을 들이는 상황이다.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가 행안부에 경찰국 설치를 예고한 것을 두고 30년에 걸친 경찰 민주화의 노력을 수포로 돌리려는 것이라고 비난한 바 있다. 이미 행안위원장 출신의 서영교 의원을 단장으로 하는 경찰장악저지대책단을 꾸린 만큼 행안위는 절대 내놓을 수 없다는 게 민주당의 의중으로 보인다.
반대로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이행을 후반기 국회 최우선 과제로 꼽고 있는 국민의힘으로서는 행안위를 총력 사수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셈이다.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등을 ‘문재인 정부 알박기 인사’로 규정하고 사퇴를 연일 압박하고 있는 여당 입장에서는 과방위도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두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