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정치적 운명의 날
2022-07-07 김두수 기자
이번 윤리위는 윤석열 정부 집권 초반 여권 내부 권력지형의 최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당 안팎에선 숨죽인 채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6일 국민의힘 등 여권에 따르면 이 대표의 징계 여부와 징계 시 수위에 대해 예단하긴 어려운 상황이라는 게 중론이다.
징계가 이뤄질 경우 대표직을 수행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이 대표 측은 경찰 수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윤리위의 어떤 징계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만약 징계가 현실로 다가온다면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등 법정 공방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높다는 관측이다.
이 대표의 징계 시나리오와 맞물려 더욱 주목되는 것은 차기 권력투쟁 및 당권 구도의 향배다.
국민의힘 당헌은 궐위된 당 대표의 잔여 임기가 6개월 이상이면 임시 전당대회를 열어 당 대표를 뽑되 임기는 전임 대표의 잔여 임기로 하게 돼 있다.
이 대표가 만약 이번에 징계를 받고 물러난다면 새로 뽑힐 지도부의 임기도 그때까지인 셈이다.
이에 당 내부에선 임기가 1년도 안 되는 사실상의 임시 지도부를 뽑아 1년 새 전대를 2번 치르느니 차라리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등을 통해 징검다리 역할을 맡기는 방안도 급부상하고 있다. 2024년 4월 치러지는 22대 총선의 공천권 문제와도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류와 맞물려 차기 당권 주자로 꼽히는 울산출신 김기현(남을) 전 원내대표와 안철수 의원, 권성동 원내대표 등도 각기 나름의 셈법을 갖고 이번 윤리위 징계 결과를 주시하는 모습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