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울산지방합동청사, 수요부족에 ‘답보’

2022-07-21     정혜윤 기자
울산 중구 우정혁신도시에 건립 예정인 ‘정부울산지방합동청사’가 수요 부족으로 국비신청도 못한 채 답보 상태다. 더욱이 추가 수요 조사에도 여전히 참여가 저조해 올해 행정안전부 ‘청사수급관리계획’에도 반영되지 않아 사업에 적신호가 켜졌다.

20일 울산시에 따르면 당초 오는 4월 목표로 진행했던 행안부의 정기 ‘청사수급관리계획’에 정부울산지방합동청사가 포함되지 못했다.

시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까지 지속 설득하고 있는 정부지방합동청사 입주 수요 조사에서 당초의 230명 규모, 8개 기관만 입주 의사를 보여 행안부가 기준으로 제시한 400명을 크게 밑돌았기 때문이다.

시는 앞서 정부울산지방합동청사 건립 예산 확보와 원활한 사업 진행을 위해 행정안전부가 수립하는 ‘청사수급관리계획’ 반영을 1차 목표로 잡고 울산 소재 공공기관을 상대로 입주를 설득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공공기관이 합동청사 건물에 대한 명확한 건축 계획이 나와야 입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며 미온적인 입장이다.

입주 수요가 확보돼야 지방합동청사의 구체적 계획을 세울 수 있다는 행안부의 입장과 정면으로 배치돼 조율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게다가 시가 우선 방안으로 추진했던 울산시선관위를 포함한 5개 구·군 선관위의 정부지방합동청사 입주도 진척이 없다.

시 관계자는 “현재 합동청사 입주를 두고 각 기관을 찾아가며 최대한 조율하고 있지만 각자 요구가 확고해 어려운 상황이다”며 “당시 방안으로 제시됐던 선관위 사무소를 합동청사로 모으는 것 역시 여전히 설득을 진행 중이다”고 밝혔다.

이에 행안부가 매년 4월께 갱신하는 청사수급관리 정기계획 반영은 고사하고 올해 예정된 5개년 계획의 중기계획 반영도 사실상 어려울 것이란 전망으로, 지방합동청사 건립 자체가 무산될 수도 있다는 우려다.

한편 시는 지난해 중구 혁신도시 일원인 교동 139 일원 약 3만1614㎡의 공공청사 부지에 정부울산지방합동청사와 울산형 청년·신혼부부 공공주택을 콜라보한 ‘행정복합타운’ 조성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해당 부지는 당초 시 제2청사 건립 후보지로 검토됐지만 반대여론이 거세 지방합동청사를 유치하는 방안으로 전환됐으나, 별다른 진척 없이 약 5년째 빈 땅으로 방치되고 있다.

정혜윤기자 hy040430@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