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전대 개최시기가 당권레이스 변수될듯

2022-07-22     김두수 기자
국민의힘이 이른바 ‘포스트 이준석’ 지도체제와 관련, 전당대회 개최 시점에 따라 울산출신 김기현(남을)의원과 안철수 의원이 당권장악 유불리에 변수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21일 여권에 따르면 당 안팎에선 이준석 대표 징계후 ‘권성동 원톱’으로 빠르게 재정비되고 있는 가운데 사실상 차기 당권레이스에 뛰어든 김 의원과 안 의원 등의 동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00여명의 당소속 현역의원들도 촉각을 세우고 있다.

특히 최근 권성동 원내대표가 대표 직무대행을 겸해 당권을 이어받은 후에도 당내에선 여전히 ‘조기 전당대회’ ‘비상대책위원회’ ‘직무대행 체제’ 등 당 진로를 놓고 다양한 목소리가 분출하고 있다.

당 안팎에서 볼땐 가능한 빠른 시점에 전당대회가 개최될 경우 김 의원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반면, 대선직전 합당형식으로 당에 몸담은 안 의원측은 내년초께로 늦어지게 될 경우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판단이 깔려있다는 관측이다.

안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 글에서 “의원총회에서 결의한대로 현 당대표의 의혹이 해소될 때까지는 권 직대체제로 흔들림 없이 나아가야 한다”고 했다.

안 의원은 “당 대표의 궐위가 아닌 상황에서 조기전대론을 주장하더라도 당장 실현될 수 없으며 혼란만 부추길 뿐”이라고 말했다.

당초 권 대행과 지도체제를 놓고 이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진 장제원 의원도 최근 “권 대행 체제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일각에서 제기되는 조기전대설에 선을 그었다.

그러나 권 대행 리더십을 향한 비판과 도전도 계속되고 있다.

김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적극적으로 정책 비전을 제시하고 홍보해야 하는데 지금은 별로 안 되고 있다. 이렇게 비정상적인 임시 시스템으로는 역부족 아니냐는 말이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의 수사 결과에 따라 지속 기한이 불투명한 직무대행 체제에 대한 비판 발언으로 해석됐다.

3선 조해진 의원은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직무대행 체제로 일단 출범한 상태이지, 그 체제가 가장 옳다고 다수가 동의하고 의결해서 한 게 아니다. 역시 비대위로 가는 게 맞는다는 생각을 더 강하게 하게 된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이준석 대표의 성상납 의혹 등에 관한 경찰 수사는 권 대행체제를 포함한 국민의힘 진로에 결정적인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수사 결과에 따라 이 대표가 당권을 회복할지, 윤리위를 통한 추가 징계로 새 지도부를 구성할지 등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