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 덕 SK이노 2분기 역대 최대 실적
SK이노베이션이 고유가와 정제마진 초강세에 힘입어 2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 29일 2022년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액 19조9053억원, 영업이익 2조3292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76.9%(+8조6525억원), 영업이익은 318.9%(+1조7732억원) 각각 증가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SK이노베이션은 “지정학적 이슈로 인한 글로벌 에너지 공급 불안과 코로나 완화 등의 영향으로 석유제품 수요증가로 정제마진이 개선되고 유가 상승에 따른 석유사업 재고관련 이익 증가, 설비운영 최적화 등이 손익 개선에 도움이 됐다”며 “특히 올해 석유제품 수출물량이 크게 증가한 것이 실적개선의 주요인이 됐다”고 설명했다.
올해 상반기 석유제품 수출물량은 6500만 배럴로 전년 대비 41.4% 증가했다.
사업 부문별로는 석유사업 영업이익이 1분기 대비 7224억원 증가한 2조2291억원을 달성하며 호실적을 견인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인한 공급차질 우려와 포스트 코로나 기조 정착으로 인한 수요 회복 기대감 등의 이유로 분석된다.
화학사업 영업이익은 1분기 대비 448억원 증가한 760억원을, 윤활유 사업은 1분기 대비 436억원 증가한 2552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반면 석유개발사업은 판매 물량 감소와 광구 운영비 및 일부 판관비 증가의 영향으로 1분기 대비 320억원 감소한 1662억원을 기록했다.
SK이노베이션이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전기차용 배터리 사업은 1분기 대비 281억원 증가한 1조2880억원을 기록하며, 3분기 연속 1조원을 돌파했다. 그러나 판매물량 감소 및 유럽지역 동력비 증가 등으로 인해 적자 폭은 1분기 대비 소폭 늘어난 3266억원으로 집계됐다.
SK이노베이션은 “하반기에는 미국 조지아 1공장, 헝가리 2공장 등 신규 공장의 수율 안정화 및 중국 옌청 2공장 가동을 통한 외형성장이 지속되면서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소재사업은 운영비용 상승으로 1분기 대비 99억원 손실폭이 증가, 13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SK이노베이션은 최근 시황 개선으로 확보한 투자재원을 바탕으로 수소, 원자력, 에너지솔루션 스타트업 등 미래 에너지 분야를 발굴하고 투자를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배터리·소재 부문에는 지난 2018년부터 올해 1분기까지 투자된 8조원을 포함, 앞으로도 약 12조원을 추가로 투자할 계획이다.
권지혜기자 ji1498@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