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 쉰다고 시장 활성화 안돼” vs “의무휴업날 동네슈퍼 매출 늘어”

2022-08-02     권지혜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 가능성을 두고 울산지역 대형마트와 소상공인의 입장이 갈리고 있다.

대형마트는 의무휴업 폐지 가능성을 환영하고 있는 반면, 소상공인은 대형마트 의무휴업을 폐지할 경우 매출에 큰 타격을 주기 때문에 폐지해서는 안된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1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1일부터 10일간 총 10개 안건을 국민제안 온라인 국민투표에 부쳐 상위 3건을 국정에 반영하기로 했는데, 투표 마지막날인 지난 31일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가 가장 많은 표를 얻은것으로 집계됐다.

대형마트 의무휴업은 지난 2012년 골목상권을 보호한다는 취지로 영업시간 제한과 함께 유통산업발전법을 통해 도입됐다. 규제는 △매월 2회 의무휴업 △매일 0~10시 영업제한으로 강화돼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해당 규제가 전통시장 활성화로 이어지지 못한채 소비자 불편만 가중한다는 지적이 일고 최근 온라인 쇼핑이 일상화하면서 법 개정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그러다 민간 주도 경제를 내세운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면서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 가능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울산지역 대형마트들은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신종코로나가 방아쇠 역할을 하면서 온라인 시장이 크게 성장했다. 이제는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이 경쟁하는 구조가 아닌 온라인 시장과 오프라인 시장이 경쟁하는 구조로 바꼈다”며 “대형마트가 의무휴업한다고 해서 전통시장 활성화로 이어지지 않았다. 이제는 오프라인 시장이 힘을 합쳐 자체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와 관련해 신중하게 지켜보고 있다는 입장도 존재했다.

또 다른 대형마트 관계자는 “현재 사업적으로 대응논의를 하기보단 신중하게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며 “다만 고객불편을 초래하는 규제에 대해선 완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반면 울산지역 소상공인들은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와 관련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언재 신정시장 상인회장은 “대형마트 의무휴업날 동네슈퍼는 매출이 크게 증가한다. 대형마트 의무휴업을 폐지할 경우 시장 내 매출이 많이 줄어들 것”이라며 “안그래도 힘든데 법까지 바꿔가면서 폐지하려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남구에 거주하는 김모(47)씨는 “대형마트 의무휴업을 폐지할 경우 노동자들의 휴식이 보장되지 않아 서비스 질이 떨어질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권지혜기자 ji1498@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