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65% “하반기 수출 줄어들것”

2022-08-18     이형중
국내 기업 10곳 중 6곳은 올해 하반기 수출이 상반기보다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등 주요국의 수요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수출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64.7%가 ‘하반기 수출이 상반기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17일 밝혔다.

하반기 수출이 ‘큰 변동 없을 것’이라는 응답은 23.0%, ‘증가할 것’이라는 답변은 12.3%에 그쳤다.

하반기 감소를 전망한 기업들은 ‘중국 등 주요 대상국의 수요 감소’(44.3%)를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으며 이어 ‘부품·원자재가 인상’(37.6%), ‘공급망 위기’(18.1%) 등을 이유로 들었다.

중국 경제성장률은 신종코로나 확산에 따른 상하이 봉쇄 여파로 1분기 4.8%에서 2분기 0.4%로 크게 하락한 상황이다. 이번 조사에서 중국 진출 기업의 72.1%가 하반기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업종별로는 가전(-6.67%)의 수출 감소 폭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됐으며 그 다음은 섬유·의류(-5.86%), 철강(-4.32%), 제약·의약품(-0.67%), 조선·플랜트(-0.3%) 순이었다.

이와 함께 세계적인 원자재 가격 상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따른 공급망 위기도 하반기 수출에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기업들은 응답했다.

내년 수출 전망도 어두운 편이다.

조사 대상 기업의 66%는 ‘올해보다 수출이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15.7%에 불과했다.

우리 기업들이 정부에 기대하는 대외정책으로는 ‘글로벌 공급망 확보 등 경제안보 강화’(37.3%)가 가장 많이 꼽혔고 이어 ‘신규시장 진출 등 수출다변화 지원’(26.1%), ‘양자·다자 자유무역협정 확대 등 통상전략 강화’(25.3%), ‘전략산업 육성’(11.3%) 순으로 나타났다.

공급망 다각화를 위해 중점적으로 협력해야 할 국가로는 미국(47.3%·복수응답)이 가장 많이 거론됐고 이어 중국(33.7%), 유럽(15.3%), 중동·아프리카(13.0%) 등의 순이었다.

미국 주도의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 ‘칩4’에 대해서는 ‘참여해야 한다’(53.4%)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