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그린쉽 클러스터 조성사업, 반드시 울산에서 진행돼야

2022-08-18     경상일보

울산시가 제안한 ‘전기추진체계 그린쉽 클러스터 조성 사업’의 주도권이 자칫 다른 지자체나 정부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제안은 울산시가 했는데 사업의 과실은 다른 지자체가 따먹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사업은 원래 울산시가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안한 사업이면서 윤석열 대통령의 지방공약사업이었다. 그러나 그 후 산업부와 과기부가 의견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이 사업은 초광역권 연계 범부처 사업으로 분류됐다. 이에 따라 조선업이 발달한 경남과 전남 등도 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

정부가 거시적인 안목에서 이번 사업을 초광역권 사업으로 분류한 것은 이해가 되지만 울산 쪽에서 보면 아쉬운 부분이 없지 않다. 거대 조선사가 위치해 있는 울산의 상대적 이점들이 상쇄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울산시와 관련 사업장들은 국내 최대의 조선단지가 울산에 위치해 있는 점 등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홍보전략을 펼쳐 핵심 사업을 울산으로 유인할 필요가 있다. 특히 동구지역은 전기추진체계 그린쉽 클러스터가 상당부분 이뤄져 있는 상태여서 조금만 정부의 지원을 이끌어내면 그린쉽 클러스터의 본고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시는 17일 본관 4층 국제회의실에서 ‘전기추진체계 그린쉽 클러스터 조성사업’ 기획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보고회에는 시와 울산정보산업진흥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UNIST, 현대중공업그룹 등 12개 기관 및 기업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했다. 용역은 전기추진체계 그린쉽 클러스터 조성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 자료를 확보하는 목적이었다.

이번 용역이 완료되고 울산이 사업의 주도권을 확보하게 되면 울산은 명실상부한 글로벌 미래 선박 기술 선도 도시로 도약할 수 있다. 이미 울산은 전기추진·자율운항선박 전동화,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전기추진 스마트선박 건조 및 실증, 자율운항 스마트선박 시운전센터 건립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문제는 이 사업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될지, 어느 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될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만의 하나 이 사업이 정부 주도의 사업으로 진행될 경우 많은 부분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형국에 다다를 수도 있다. 따라서 울산시는 이번 기획용역에 심혈을 기울여 전기추진체계 그린쉽 클러스터 조성 사업이 울산지역에서 활성화되도록 최선의 행정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