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수소산업진흥전담기관’ 유치전 돌입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 위해
수소특구와 연계성 부각시켜
에너지공단에 업무지정 추진
에너지평가원 등 각축전 전망

2020-01-08     최창환
‘글로벌 수소경제 도시’를 지향하는 울산시가 ‘수소산업진흥전담기관’ 유치에 본격 나선다. 서울시와 각축전이 예상되는 가운데 울산시는 ‘수소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등 수소 기반의 혁신성장 가치사슬(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산업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는 점을 적극 부각한다는 전략이다.

울산시는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안’(수소경제법)이 이르면 오는 9일 국회를 통과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수소경제법은 수소유통전담기관, 수소안전전담기관, 수소산업진흥전담기관 등 수소의 유통과 안전, 진흥을 분리해 각각의 전담기관을 신설해 맡기는 것이 골자다. 업무의 특성상 수소유통전담기관은 한국가스공사로, 수소안전전담기관은 한국가스안전공사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

나머지 수소산업진흥전담기관을 울산혁신도시에 있는 한국에너지공단이 맡게하는 게 울산시의 목표다. 경쟁기관은 서울에 위치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등이다. 수소산업진흥전담기관은 울산시가 유치의사가 강한 수소산업진흥원으로 보면 된다. 자발적으로 발족한 울산유치위원회가 약 6개월 동안 대시민 서명운동을 하며, 12만명의 시민 염원을 정부에 건네기도 했다.

울산시가 수소산업진흥전담기관 유치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좁게는 울산 경제를, 넓게는 대한민국 경제를 주도할 새로운 신성장동력이기 때문이다. 울산 유치의 당위성도 충분하다. 울산의 수소생산은 전국 생산량의 50%를 넘어섰고 수소차는 1200여대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수소배관망도 120㎞에 달하고 튜브트레일러도 300대를 보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수소산업의 인프라가 가장 잘 구축돼 있는 도시가 바로 울산인 것이다.

또 테크노산단 내에 수소연료전지융복합실증단지를 조성했다. 지난달에는 수소그린모빌리티 특구로도 지정됐다. 지난해 1월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정부는 울산에서 ‘수소산업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탄력을 받은 울산시는 그해 2월 ‘2030 울산 세계 최고 수소도시 비전 선포식’을 가졌다. 2030년까지 수소전기차 연간 50만대 생산기반 구축, 울산수소융복합밸리 조성, 수소 공급망 및 충전인프라 구축 등 10대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초기 수소시장 선점과 더불어 수소경제사회로 진입에 역량을 쏟고 있다. 울산시는 수소를 울산의 미래 먹거리로 확립하려면 수소산업진흥전담기관을 중심으로 수소산업의 체계화된 생태계를 갖춰야 한다는 설명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이 수소경제 중심도시로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수소산업이 한국경제의 미래먹거리로도 확고히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울산에 반드시 수소산업진흥전담기관이 설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