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비중 ‘쑥’ 신재생에너지‘뚝’

2022-08-31     이형중
신규 원전 6기 가동과 기존 원전 12기 계속운전으로 오는 2030년에는 원전 발전 비중을 전체 전력 발전량의 3분의 1 수준으로 대폭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20% 초반 수준으로 올리고 석탄은 감축 기조를 유지해 대폭 축소한다. 석탄부두가 위치한 울산항의 부두기능 재편에도 직간접 영향이 미칠 것이란 관측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실무안을 전기본 자문기구인 총괄분과위원회에서 마련했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 당시인 지난해 10월 확정된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안’과 비교해 원전은 8.9%p 상향 조정됐고 신재생에너지는 8.7%p 하향 조정됐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0년 원전 발전량은 201.7TWh(테라와트시)로, 전체 발전량의 32.8%를 차지하게 된다. 이어 신재생에너지 21.5%, 석탄 21.2%, 액화천연가스(LNG) 20.9%, 무탄소 2.3%, 기타 1.3% 등의 순이다.

원전의 경우 발전 비중이 지난해 10월 확정된 2030NDC 상향안 대비 8.9%p 높은 대신 신재생에너지는 8.7%p 낮다.

2030NDC상향안은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를 2018년 대비 40% 감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총괄분과위는 원전의 경우 계속운전·신규원전 가동 등에 따라 발전 비중이 2030년에 32.8%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석탄 발전 비중은 21.2%로 2030NDC 상향안과 비교해 0.6%p 낮다. 그러나 9차 계획(29.9%)보다는 8.7%p 낮은 수준으로, 석탄 발전 감축 기조는 유지된다. 권지혜기자 일부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