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소영의 날씨이야기]가을태풍, 방심하면 안된다
힌남노의 상처가 아물기도 전에 우리나라 주변에서 3개의 태풍이 서성이고 있다. 제12호 태풍 ‘무이파’와 제13호 태풍 ‘므르복’, 지난 화요일 새벽 열대소용돌이로 발생해 하루새 ‘난마돌’로 이름 붙여진 제14호 태풍이다. 태풍의 수명은 1주일에서 한 달 정도다. 1974년 발생한 29호 태풍 헤스터는 발생 6시간 만에 소멸했다. 반면, 1986년 14호 태풍 웨인은 19일 하고도 6시간으로 지금까지 발생한 태풍 중 가장 긴 수명을 자랑한다.
한번에 5개의 태풍이 지나간 때도 있었는데, 지난 1960년 8월23일 14호 태풍 베쓰를 포함해 5개의 태풍이 우리나라에 한꺼번에 영향을 미쳤다. 또 1965년 9월 한 달 동안 20호 태풍 올리브를 포함해 무려 8개 태풍이 하루도 빠짐없이 활동했다. 통상 한해에 25개의 태풍이 발생하는 점을 감안하면, 3개의 태풍이 부지런히 발생하는 것 역시 그리 이색적이지는 않다.
태풍은 실제 8월(5.6개) 여름에 가장 많이 발생해 우리나라(1.2개)에 가장 많이 급습한다. 그런데 왜 가을태풍을 걱정하는 것일까? 2003년 태풍 ‘매미’(9월6일), 2007년 ‘나리’(9월16일), 2010년 ‘곤파스’(9월2일), 2020년 ‘하이선’(9월7일), 이들의 특징은 우리나라에 큰 피해를 남긴 가을 태풍이다. 바다의 뜨거운 열기와 수증기를 에너지원으로 삼는 태풍은 해수면 온도가 높을 때 강한 세력을 유지한다. 태풍의 주요 무대인 북태평양 적도 인근의 해수면 온도가 26℃만 되어도 태풍이 생성되는데, 수온이 가장 높아지는 때가 6월 말(하지)부터 9월 말(추분) 사이다. 바닷물은 육지보다 서서히 데워지고 서서히 식기 때문에 10월까지도 태풍이 만들어 질 수 있다.
문제는 가을 태풍이 더 잦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1991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30년 간 태풍의 통계 자료를 살펴보면, 8월은 5.6개, 9월은 5.1개, 10월 3.5개의 태풍이 발생했다. 하지만 최근 10년(2011~2020년) 자료를 보면, 8월에 5.1개, 9월 5.3개, 10월 3.7개다. 또한 2001년부터 2010년 사이 연평균 2.5개의 태풍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반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10년 동안은 4개의 태풍이 영향을 줬다. 태풍 발생빈도도 증가추세다.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반도 주변의 해수온도가 평년보다 1~2도 가량 높고, 전세계 수온상승보다 더 가팔라 한반도는 더이상 슈퍼태풍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태풍이 급습할 때의 대비도 중요하지만, 슈퍼태풍에 대비한 기후위기 차원의 재난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정비가 시급한 상황이다.
맹소영 기상칼럼니스트·(주)에코그린캠퍼스 대표이사